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서간지(書簡紙)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서간지(書簡紙)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봉투는 편지나 서류 따위를 넣기 위하여 종이로 만든 주머니이다. 봉투는 서통(書筒)·봉통(封筒)이라고도 한다. 종이의 발명과 사용은 대략 B. C. 2세기경에 중국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것으로 본다. 초기에는 폐마(廢麻)를 원료로 했으나‚ 105년에 후한(漢)의 채륜(蔡倫)이 제조법을 개량한 후 널리 퍼졌다. 우리나라에 종이와 그 제조법이 전해진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지만‚ 『일본서기』에 610년에 담징이 맷돌‚ 채색(彩色)과 함께 종이를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이 있어‚ 최소한 이 시기 이전에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이에 대한 기록이 보이는 문헌으로는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의 「구공조」「궐공조(厥貢條)」 등이 있는데‚ 여러 용도에 따라 사용되었던 종이의 명칭이 보인다. 한편 성현의 『용재총화』에는 세종 때 조지서(造紙署)가 설치되어 흰종이를 비롯하여 여러 빛깔의 좋은 종이가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우리나라 종이는 주로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닥나무를 익혀 껍질을 벗긴 다음 껍질을 햇볕에 말리고 삶아 방망이로 두들겨 죽같이 만든다. 그 후 발에 놓고 종이를 한 장씩 떠내어 말려서 완성한다. 색지(色紙)는 이러한 전통기법으로 만든 한지에 갖가지 천연염료로 물들이며‚ 적(赤)·청(靑)·황(黃)·백(白)·흑(黑)의 다섯 가지 기본색 외에 2∼30여 가지의 색상이 있다. 정조 중엽 이전에는 보통 간찰(簡札; 편지)이나 축시를 쓸 때 좋은 백지에 썼고 색지를 쓴 흔적은 거의 없다. 다만 고관대작‚ 부유층‚ 문인들중 호사가들이 간혹 색지나 색두루말이를 사용하기도 했다. 한지로 만든 봉투는 간찰지만큼이나 다양한데 백색봉투와 백색봉투에 붉은색으로 문양을 찍은 봉투‚ 색봉투 등이 있다. 색지로 만든 색봉투는 대형과 소형의 것이 있으며 대형봉투는 일반 서간지가 아니라 혼서지(婚書紙)를 넣는 데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서간지를 넣는 봉투(간찰용 봉투)는 너비 6∼6.8cm‚ 길이 36cm 정도이다. <참고문헌> 종이공예문화(임영주‚ 대원사‚ 1996)‚ 우리의 문방제구(김삼대자‚ 대인기획‚ 1996)‚ 문방사우(이겸노‚ 대원사‚ 1993)‚ 한국의 종이문화(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전통공예기술-지공예-(임영주 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색지공예(금광복‚ 대원사‚ 1990)‚ 조선시대문방제구(국립중앙박물관‚ 1992) <유사·관련 용어> 백색봉투‚ 백색한지봉투‚ 색간봉투‚ 색간지봉투‚ 간찰용봉투‚ 혼서지용봉투‚ 봉투‚ 서통‚ 봉통‚ 편지‚ 간찰(簡札)‚ 서간(書簡)‚ 서찰(書札)‚ 서한(書翰)‚ 수찰(手札)‚ 어안(魚雁)‚ 서간지‚ 간찰지‚ 색지‚ 한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