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송암집(松巖集)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송암집(松巖集)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송암집(松巖集)은 송암(松巖) 이재형(李載亨)(1665∼1741)의 시문집이다. 이 책은 윤심형(尹心衡)‚ 홍계희(?啓禧) 등이 편집·교정하고‚ 이명곤(李命坤)‚ 서명신(徐命臣) 등이 재정적으로 원조하여 1758년(英祖 34)에 간행되었다. 6권 3책으로‚ 서한문(書翰文)과 시(詩) 및 잡저(雜著)가 주를 이룬다. 책의 앞에는 윤봉조(尹鳳朝)의 서문이 있고‚ 끝에는 김원행(金元行)의 발문(跋文)이 있다. 이재형은 함경도 경성(鏡城) 출신의 학자로‚ 자는 가회(嘉會)‚ 호는 송암(松巖)‚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그는 1716년(숙종 42) 김창집(金昌集)의 추천으로 남부참봉(南部參?)이 되고 장악원(掌樂院) 주부(主簿) 등을 거쳐‚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에 임명되었으나 노환(老?)으로 취임하지는 못했다. 그는 당대의 이름높은 학자였던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문하에서 공부하면서‚ 김창집(金昌集)‚ 김창흡(金昌翕) 형제들과 친교를 맺었다. 이재형은 당대에 인정받는 학자로서 성명인물동이(?命人物同異)에 관한 설을 지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송암집-(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서울대출판부‚ 1981)‚ 한국인명대사전(신구문화사‚ 1989) <유사·관련용어> 이재형‚ 시문집‚ 윤봉조‚ 김원행‚ 김창협‚ 김창흡‚ 윤심형‚ 홍계희‚ 이명곤‚ 서명신‚ 성명인물성동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