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패옥(佩?)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패옥(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왕과 왕비의 법복(法服)이나 문무백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의 허리의 양옆에 늘이는 장식품. 패옥은 중국 은(殷)나라 때 장식품을 한 쌍으로 만들어 혁대에 달고 다녔는데‚ 이를 "패"라 하였고 이 "패"에 달린 옥을 패옥이라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패옥은 면복(冕服)의 부속물로서 명나라로부터 면복이 사여될 때 함께 유래된 것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 五?衍文長箋散稿》의 기록에 따르면 패옥은 원래 패대(佩袋)없이 착용하였던 것이나 명(明)나라 가정(嘉靖) 연간의 세종(世宗) 이후부터는 패옥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대를 만들어 사용하도록 했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면복에 관한 규정에서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패옥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명나라로부터 면복의 수용이 단절되어 면복이 국속화되면서 패옥의 형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패옥은 여러 가지 모양의 옥을 촘촘하게 연결하여 만들었다.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 서례 제복도설에는 왕의 패옥은 위에 형(?)이 있고 가운데에는 거와 우(瑀)가 있으며 아래에는 쌍황(雙璜)이 있고 쌍황 사이에는 충아(衝牙)가 있으며 충아와 쌍황 사이에 쌍적(雙適)이 있는데 모두 무늬가 없는 민옥(??)을 사용하였다고 되어 있다. 맨 윗부분에 금속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 혁대에 걸어서 늘어뜨리게 되어 있었다. 걸을 때마다 황‚ 충아‚ 적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깍아 만든 옥 조각이 서로 부딪쳐서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냈다. 조선 말기 고종황제 십이장복의 패옥은 2개의 옥패(?佩)에 각각 옥형(??) 1개‚ 우 1개‚ 거 2개‚ 충아 1개‚ 황 2개이며 우 밑에는 옥화(?花)가 있고 옥화 밑에는 오적이 2개 달려 있어 모두 운룡문(雲龍紋)을 새겼다. 옥패 윗부분에는 금구(金鉤) 2개가 있고 6채(采)의 소수(小綬) 2줄이 달려 있는데‚ 소수는 훈색 바탕에 황(黃)·백(白)·현(?)·표·녹(綠)의 5색사로 짰다. 《경국대전 經國?典》에 나타난 문무백관의 패옥은 왕이나 왕세자복의 것과 형태는 같지만‚ 품계(品階)에 따라 재료와 색에 차이가 있었다. 1∼3품은 돌가루를 구워서 푸름 빛이 도는 옥모양으로 만든 인조옥인 번청옥(燔靑?)을 사용하고‚ 4∼9품은 돌가루를 구워서 흰 빛깔이 도는 옥모양의 인조옥인 번백옥(燔白?)을 사용하였다. 패옥에 사용된 옥은 백옥구슬로 여러 형태의 백옥장식을 연결하여 만들었는데 상단에 있는 형은 너비 10cm‚ 높이 5cm 정도이며‚ 여기에 구슬을 꿴 3개의 줄에 의하여 연결된 우(瑀)는 너비 5.5cm‚ 높이 5cm 정도이고‚ 그 밑에 연결된 거는 너비 6.7cm‚ 높이 5.4c영숙‚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7)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패옥(조선조말기왕실복식‚ 김영숙‚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7‚ 57쪽) <유사·관련 용어> 옥패(?佩)‚ 형(?)‚ 우(瑀)‚ 황(璜)‚ 법복(法服)‚ 제복(祭服)‚ 조복(朝服)m이다. 여기에 다시 충아(衝牙)와 2개의 황(璜)이 있고‚ 형에서 연결된 2개의 옥판에 옥화·옥적이 달려 있다. 이 옥적· 황·충아 등이 서로 부딪쳐 걸을 때마다 소리를 낸다. 각 옥장식은 무늬가 없는 민옥이다. <참고문헌>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김문자‚ 교문사‚ 1998) 한국복식사(안명숙·김용서‚ 예학사‚ 1998) 조선조말기왕실복식(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