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써래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써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써레는 소가 쟁기를 끌어 갈아낸 논바닥의 흙을 평평히 고르는 농기구이다. 단단하고 굵은 향나무와 느릅나무 같은 통나무로 `바탕`을 만들고‚ 그 밑에 구멍을 파서 밤나무로 말뚝같이 깎은 30∼40Cm가량의 `발`을 꽂는다. 그 다음 윗쪽에 ∏모양의 `손잡이`를 끼운다. 양 끝에서 두 번째 발이 바탕 위로 뚫고 나와 손잡이 가로나무에 연결되는 데 이것을 `직살`이라고 한다. 바탕에는 다시 `채`를 해 박아 그것을 밧줄에 연결하여 끌게 한다. 써레의 발은 흙에 곧잘 부러지기 때문에 여러 개를 준비하였다가 그때그때 고쳐박았다. 발이 한 줄로 된 것을 보통 `써레`라 하고‚ 여러 줄로 겹쳐 만든 것은 `평상써레`라고 한다. 또한 옹이진 나무나 가지가 벌어진 부분을 아래부분으로 하여 여러 개의 긴 나무를 연결한 것을 `공이 써레`라 한다. 평상써레는 밭에서 많이 쓰고‚ 사람이 올라타거나 무거운 것을 올려놓고 소로 끈다. 소가 끌 경우 흙물이 얼굴에 튀기기 때문에 꼬리 끝을 묶어서 흔히 손잡이에 맨다. 써레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번지와 나래가 있다. 번지는 써레와 똑같은 구조에 발 대신 보통 긴 네모꼴의 널판을 덧댄 형태이다. 써래질을 한 뒤에 잘게 으깬 흙의 표면을 `번지치기`라 하여 다시 판판하게 고르는 데 쓴다. 나래는 논바닥이 높고 낮아서 물이 고루 퍼지지 않는 논바닥이나 밭의 자갈‚ 흙 따위를 밀어내는 데 쓴다. 형태는 써레와 비슷하나 아래에 발 대신에 널판이나 철판을 가로 대었다. 이 유물은 통나무에 기둥 2개를 세우고 손잡이를 끼웠다. 써래발은 7개이다. <참고문헌> 농기구(박대순‚ 1990)‚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 김광언‚ 1986)‚ 한국의 농업 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1992) <사진자료> 농기구(박대순‚ 1990)‚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 김광언‚ 1986)‚ 한국의 농업 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유사.관련용어> 바탕‚ 발‚ 직살‚ 손잡이‚ 소흘라(所訖羅)‚ 서흐레‚ 파‚ 초‚ 마파‚ 쓰레‚ 써리.써그레‚ 평상써레‚ 공이 써레‚ 고써레‚ 번지‚ 판로(板撈)‚ 번지치기‚ 나래‚ 발나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