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부전(A)(바늘집)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부전(A)(바늘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바늘 보관용 도구 중 하나. 바늘집은 침낭(針囊)이라고도 한다. 바늘집에는 금속으로 만든 것도 있었지만 대개는 비단에 수놓아 만들기도 하고 또 노리개 삼아 패용(佩用)하기도 하였다. 바늘집은 아랫부분과 윗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아랫부분 속에는 바늘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털을 가득히 넣고 바늘을 꽂게 되어 있으며‚ 윗부분은 뚜껑의 역할을 하고 있다. 침낭(針囊)을 노리개 삼아 패용하게 된 것은 부녀자들이 항시 사용하는 바늘을 손쉽게 찾아 사용하기 위한 방편이었으며‚ 실용적이었던 것이 장식화된 것이다. 바늘집의 형태는 관통형‚ 장방형‚ 괴불형‚ 주머니형 등으로 표면에 연화당초문 등으로 음각된 것도 있고 칠보‚ 자수 등으로 장식하고 각종 화려한 매듭을 매에 노리개로 이용되고 있다. 재료는 헝겊·가죽·종이·백동(白銅)·은(銀) 등 다양하다. 특히 금속제로 만들 경우에는 대개 백동을 재료로 하여 원통형과 궤불형으로 만든다. 원통형으로 만들 경우 크기는 지름1cm에‚ 길이는 6cm가량의 짧은 것에서부터 12cm 정도의 긴 것까지 있다. 또한 괴불형은 7cm 정도의 길이에 윗부분의 가장 넓은 부분은 3cm‚ 아랫부분의 가장 넓은 부분은 3.5cm 정도이다. 그리고 파란색을 입히거나 당초문(唐草紋)‚ 화판문(花瓣紋)을 선각(線刻)하거나 칠보세공을 하여 노리개로 하기도 하였다. 바늘은 소중한 도구이고 또 함부로 굴릴 경우 무서운 해를 끼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바늘 보관용 도구에 넣어 두는 것이 예로부터 우리 풍속이었으며‚ 바늘 보관용 용구로는 바늘집·바늘꽂이·바늘통 등이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복식(조효순‚ 대원사‚ 1994) 한국인의옷(조효순‚ 밀알‚ 1995) 바느질 도구를 소재로 한 장식 도자(고선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바느질세탁갈무리풍속(고부자‚ 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1995‚289쪽) <사진자료> 바느질세탁갈무리풍속(고부자‚ 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1995‚162쪽) 우리규방문화(허동화‚ 현암사‚ 1997‚ 13쪽) <유사·관련 용어> 침낭(針囊)‚ 바늘꽂이‚ 바늘통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