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잔(盞)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잔(盞)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술이나 물 등을 담는 작은 그릇. 그릇의 형태나 재질 등에 따라 배(杯)·작(爵)·완(碗) 등도 잔이라 불리기도 한다. 재질은 금·은·청동·나무·쇠·구리·흙·곱돌·유리·수정·옥 등 매우 다양하다. 근래에는 스테인레스나 합성수지로도 만들어진다. 용도는 각종 의례나 부장품으로도 쓰였으나 대개 생활 속에서 음식기로 쓰였다. 형태는 굽·손잡이·잔대(盞臺‚ 잔받침)·뚜껑의 유무로 구별된다. 또 어떤 물건이나 동식물을 본따 만들기도 한다. 문양은 대개 길상문·화초문·초충문(草蟲紋) 등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안에 구슬 등을 집어 넣어 잔을 들 때마다 소리가 나도록 한 것도 있어 조상들이 매우 창의적으로 잔을 제작하였음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신석기시대의 토기(土器)잔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의 백자잔까지 시대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형태로 잔을 만들어 썼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삼국시대 무덤인 신라 황남대총(AD 5세기)에서 나온 잔이 있다. 이 유물은 청화백자발(靑華白磁鉢)로 밑이 좁고 구연이 완만하게 바라졌으며‚ 회백색을 띠고 있다. 입술이 밖으로 말려 있으며‚ 낮고 좁은 굽이 달려 있다. 굽 4곳에 내화토받침이 있고‚ 내저에 포개 구운 흔적이 있다. 전면에 백자유가 시유되었고 외면에 기포 자국이 많다. 구연에 청화로 선을 돌리고 이중원권(二重圓圈)을 그렸으며‚ 원권과 외면에 초화문을 그려 넣었다. 안료의 색이 청회색을 띠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66쪽) <사진자료> 한양대학교 박물관 수장 유물선(한양대학교 박물관‚ 1995‚ 79쪽·89쪽) <유사/관련 용어> 배‚ 완‚ 작‚ 잔대‚ 백자‚ 백자발‚ 청화‚ 초충문‚ 화초문‚ 황남대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