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팔걸이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팔걸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팔걸이는 앉을 때 겨드랑이 밑에 괴어 몸을 편안하게 기대도록 하는 기구이다. 궤‚ 의침(依枕)이라고도 한다. 팔걸이는 대신이나 중신(重臣)들이 늙어서 벼슬을 그만둘 때 임금이 주는 물건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신라 문무왕이 중국 한나라 공광(孔光)의 고사에 따라 삼국통일에 공을 세운 김유신에게 처음으로 하사한 이후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계승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임금이 늙은 중신들에게 지팡이와 함께 하사하였는데‚ 이를 `사궤장`이라 한다. 또한 나이 70세 이상의 대신에게 팔걸이를 주면서 베풀던 재상연(宰相宴)이라는 연회도 있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부장품으로 팔걸이를 넣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임금이 중신에게 하사한 것과 유사한 팔걸이 형태는 『세종실록』 「오례의」의 궤 도면에 나타나 있다. 이는 일반적인 팔걸이보다 크고 운문(雲紋)‚ 영지 등을 장식하였으며 양쪽에 투각된 다리를 대었다. 보통 팔걸이는 양면 끝은 조금 넓고 가운데는 둥글게 파인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하를 받치고 있는 봉이 있어 중간부분이 빈 형태와 중간부분에 서랍이 부착된 문갑 겸용 형태도 있다. 가을이나 겨울에는 보온용 덮개를 씌우기도 하였다. 현존하는 팔걸이는 타원형의 아래판과 위판 사이에 기둥을 세운 것이 주종을 이루는데‚ 팔걸이의 형태는 목침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이 유물은 팔을 편히 얹도록 아래 위 판을 곡선으로 처리하였는데‚ 그 모양이 『세종실록』 「오례의」에 그려진 궤의 곡선과 매우 비슷하다. 목판 좌우에 소나무와 사슴을 투각한 판을 대었다. 가운데에는 중간이 꼬인 것처럼 깍아낸 기둥을 세웠다. 겉에는 얇게 생칠(生漆)을 입혔다. <참고문헌> 전통 목가구(김삼대자‚ 1994)‚ 한국의 목공예 下(이종석‚ 1988)‚ 한국 목가구의 전통양식(배만실‚ 1988)‚ 목공소품(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77)‚ 한국민속의 세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가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유사관련용어> 궤‚ 궤상‚ 궤장‚ 의침(依枕)‚ 사궤장‚ 협식(脇?)‚ 목가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