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등채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등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등채는 조선시대 무관의 말채찍이다. 등채는 등책(藤策) 또는 등편(藤鞭)이라고도 한다. 주로 굵은 등나무로 만들며 둥근 모양의 긴 막대기의 형태이다. 끝에는 물들인 사슴가죽이나 색깔있는 비단끈 즉 색단(色緞)을 매었다. 국상(國喪) 때에는 백의를 입고 백색끈을 매기도 하였다. 이 등채에는 둥근 대의 양 끝에 놋쇠로 된 마구리가 있다. 그리고 한쪽 끝에는 끈과 갈고리가 달려 있다. 등채는 융복(戎服)이나 구군복(具軍服)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융복을 입을 때 주로 오른손에 들었다. 융복의 구성을 보면 전립(戰笠)을 쓰고 첩리(帖裏)를 입고 목화(木靴)를 신었다. 여기에 환도(環刀)·동개·등채 등을 갖추었다. 첩리는 철릭 또는 천익(?翼)이라고도 하였다. 첩리에는 광대(廣帶)를 둘렀다. 그리고 광대의 앞쪽 좌측에 병부(兵符)가 든 주머니를 매달았다. 환도는 주로 어깨에 메듯이 좌측 등뒤로부터 앞으로 찼다. 그리고 동개는 통개(筒箇)라고도 하는데‚ 환도와 같은 쪽으로 맸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5)‚ 한국복식사(석주선‚ 보진재‚ 1971)‚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한국복식사(석주선‚ 보진재‚ 1971)‚ 육군박물관도록(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1992)‚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유사관련용어> 통개‚ 립‚ 첩리‚ 환도‚ 목화‚ 천익‚ 철릭‚ 병부‚ 광대‚ 등책‚ 등편‚ 색단‚ 융복‚ 구군복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