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풍잠(風簪)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풍잠(風簪)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망건의 앞이마에 다는 장식품. 풍잠(風簪)은 조선시대 남자들이 상투를 틀 때 머리카락이 흩어지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던 망건(網巾)의 중앙에 꾸미는 장식물이다. 원산(遠山)이라고도 하며 갓[黑笠]이 내려오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망건을 착용하면 풍잠이 이마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그 위에 갓을 쓰면 풍잠이 갓 속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모자가 풍잠에 걸려 바람에도 갓이 뒤고 넘어가지 않게 된다. 우리 조상들은 관(冠) 속으로 은은히 비치는 풍잠을 멋스럽고 품위 있게 여겼다. 풍잠은 소뿔‚ 대모(?帽)‚ 호박(琥?)‚ 금패(金貝) 등을 지름 4cm 내외의 타원 또는 반달 모양으로 만들어 부착하였다. 신분에 따라 재료를 달리 하였는데‚ 양반은 호박‚ 대모‚ 마노(瑪瑙)로‚ 중인(中人)·상인(商人)계급은 뼈(骨)와 뿔(角)로 만들었다. 사치스러운 사람은 옥이나 유리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자(貫子:망건에 달아 당줄을 꿰는 작은 고리)와 같이 관품(官品)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었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한국 수공예 미술(김종태‚ 예경산업사‚ 1990) 한국복식(이순원·백영자‚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2) 민중의 유산(예용해‚ 대원사‚ 1997)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풍잠(한국복식문화사전‚ 김영숙‚ 미술문화‚ 1998‚ 395쪽) 풍잠(한국복식사‚ 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105쪽) 풍잠이 달린 망건(한국복식2천년‚ 유희경·김문자‚ 1998‚ 225쪽) 풍잠(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1995‚ 42쪽) 동곳‚ 관자‚ 풍잠(한국의 복식‚ 백영자‚ 경춘사‚ 1996‚ 241쪽) <유사·관련 용어> 원산(遠山)‚ 망건(網巾)‚ 관자‚ 권자(圈子)‚ 당줄‚ 갓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