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삼족반(三足盤)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족반(三足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유물은 세 개의 다리와 둥그런 상판으로 이루어진 삼족반(三足盤)이다. 유물의 판면(板面)에는 매화나무와 두 마리의 학이 자개상감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난간에는 테 무늬가 둘러져 있다. 나(螺)는 소라나 조개를‚ 전(鈿)은 비녀‚ 황금으로 꾸민 장식‚ 자개를 박은 것 등을 뜻한다. 그리고 칠기(漆器)란 옻나무 즙으로 칠을 한 제품을 말한다. 즉 나전칠기란 자개 장식과 옻칠을 함께 한 공예품을 일컫는다. 신라고분의 부장품에서는 칠기 조각이 흔하게 발견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호우총(壺 塚)에서 발굴된 유물로 칠기에 나전을 상감(象嵌)한 뛰어난 예술품이다. 반의 다리는 모방한 생물의 이름을 따라서 구족반(狗足盤)‚ 호족반(虎足盤)‚ 죽절반(竹節盤) 등으로 부른다. 이 유물의 다리는 호랑이 다리를 본떠서 만든 호족반이다. 호족형 다리는 상등(上等) 소반에 쓰여 상(床)의 품격을 한층 더해준다. 고구려벽화에 나타난 소반의 모습을 보면‚ 각저총(角抵塚) 주실(主室) 벽화(壁畵)에 그려져 있는 방형(方型)의 사족반(四足盤)과 원형삼족반(圓型三足盤)이 있다. 그리고 무용총(舞踊塚) 주실(主室) 벽화(壁畵)에서는 다리가 없는 쟁반과 말굽 모양의 다리를 가진 방형반(方型盤)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나전칠기·화각공예(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9)‚ 전통과학기술조사연구Ⅰ(국립중앙과학관‚ 1993)‚ 이조목공가구의 미(배만실‚ 보성문화사‚ 197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사진자료> 이조목공가구의 미(배만실‚ 보성문화사‚ 1978) <유사관련용어> 소반(小盤)‚ 반(槃)‚ 상(床)‚ 상(牀)‚ 궤(机)‚ 안(案)‚ 나전칠기(螺鈿漆器)‚ 상감(象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