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점구(占具)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점구(占具)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점구통. 점복의 역사는 원시시대 이래로 전승되어 왔는데‚ 점구를 이용하는 방식은 점복의 한 유형이다. 거북이 점구통으로 사용되게 된 연원은 중국의 고대 인물인 하우씨가 치수과정에서 발견된 신이한 거북의 등에 기록된 하도낙서(河圖洛書)가 주역 팔괘의 근원이라는 점에서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거북이 갖고 있는 신통력을 이용하여 미래의 일을 점치는데‚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점복은 농경을 통한 정착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농사의 흉풍이나‚ 혹은 전쟁이 일어났을 때 그 승패를 미리 알아보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의 위지 동이전을 보면 전쟁이 시작될 경우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소를 잡아 발굽으로 점을 친다고 되어 있다. 이때 발굽이 갈라지면 나쁘고 발굽이 붙으면 좋다고 한다. 삼국시대에 들어오면서 하늘의 별자리를 토대로 국가의 중요한 일을 판단하는 일관이라는 관직까지 두고 있었는데‚ 이것은 점복행위가 미신적인 의미보다는 인간이나 국가의 흥망성쇠를 판단하는 기준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점복의 형태로는 자연현상을 토대로 점을 치는 자연관상점·꿈을 꾼 내용으로 점을 치는 몽점(?占)·강신을 받아 점을 치는 신비점·윷놀이 등의 승패결과로 점을 치는 인위점·거북이나 점통의 내용을 토대로 점을 치는 작괘점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 유물은 거북 모양으로 목 밑에 조그만한 손잡이가 있다. <참고문헌> 서울민속대관 5권(서울특별시‚ 1993)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