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등장(燈杖)

추천0 조회수 11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등장(燈杖)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등장(燈杖)은 등롱(燈籠)이나 초롱을 걸어서 들 때나 땅에 세워 둘 때 쓰는 막대이다. 등롱과 초롱은 집안을 밝히기 위해 처마밑 혹은 대청에 걸어두거나 의 예식때 혹은 외출시 밤길을 밝히는 데 사용하는 실외조명기구[제등(提燈)]이다. 철사‚ 놋쇠‚ 대나무‚ 나무 등으로 뼈대를 만들고 표면에 종이나 갑사(紗)‚ 유리 등을 씌운 다음‚ 그 안에 기름등잔이나 촛불을 넣어 어두운 곳을 밝힌다. 등롱과 초롱에 얇은 비단을 씌운 것 중 특히 청색이나 홍색으로 배색한 것은 의 예식용으로 사용하였는데‚ 행사날을 빛내고 모든 잡귀를 쫓아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낮에도 촛불을 밝혔다. 등장은 등롱과 초롱의 손잡이용 자루처럼 이용되었는데‚ 등롱과 초롱을 등장 위의 갈고리에 걸어 들었다. 또한 등을 걸어 등대(燈臺)처럼 이용하기도 하였는데‚ 등장 밑을 예리하게 만들어 등롱과 초롱을 건 채로 땅에 세우기도 하였다. 등장은 정재(呈才) 때 붉은 비단으로 만든 조촉(照燭)이라는 등에도 썼다. 용머리로 장식한 긴 대 끝에 조촉을 달아 이것을 세우면 풍악이 진행되고 뉘이면 풍악이 그치는 신호용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관등절(觀燈節)에 각 가정에서는 식구 수대로 등을 달기 위해서 등간(燈竿)이라 하여 마당에 긴 장대를 세웠고‚ 관부(官府)나 시장에서도 높은 대를 세운 후 그 위에 등을 달았다. 또한 주막에서 주막임을 알리기 위해 문 앞에 긴 장대를 세우고 그 위에 종이로 만든 `주막등` 혹은 `주등`(酒燈)을 달았다. 이 등장의 중간부분은 나무로 만들었으나‚ 밑은 철로 뾰족하게 만들어 땅에도 꽂을 수 있고 위는 갈고리가 있어 등롱이나 초롱을 걸게 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잔(한국등잔박물관‚ 199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기(燈器)‚ 청사초롱‚ 관등놀이-(정신문화연구원‚ 1991)‚ 불의 민속(국립민속박물관‚ 1996)‚ 이조 시대 등촉 기구에 관한 고찰(김삼대자‚ 이화여대‚ 1969) 〈사진자료〉 등잔(한국등잔박물관‚ 199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기(燈器)‚ 청사초롱-(정신문화연구원‚ 1991) 〈유사관련용어〉 등간(燈竿)‚ 장간(長竿)‚ 대‚ 등롱대‚ 등대‚ 청홍등롱(靑紅燈籠)‚ 청홍갑사등롱(靑紅甲紗燈籠)‚ 청사홍사등롱‚ 홍사등롱‚ 사등롱(紗燈籠)‚ 청사초롱‚ 홍사초롱‚ 사초롱 사촉롱(紗燭籠)‚ 조촉(照燭)‚ 제등(提燈)‚ 수등(手燈)‚ 사방등(四方燈)‚ 방등(方燈)‚ 수촉등(手燭燈)‚ 수촉롱(手燭籠)‚ 등기구(燈器具)‚ 등촉구(燈燭具)‚ 관등절‚ 주막등‚ 주등(酒燈)‚ 혼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