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무빗

추천0 조회수 9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무빗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빗어 내리는데 사용되는 도구. 빗은 머리카락에 기름을 바르거나 때와 비듬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뒷머리에 꽂아 머리를 장식하는 데도 이용되었다. 낙랑유적에서 일찍이 나무로 된 빗이 발견되었고‚ 삼국시대에는 경주의 금령총에서 나무빗 1개‚ 식리총에서 나무빗 2개가 출토되었다. 통일신라의 나무빗은 머리카락을 정돈하고 다듬는 데 사용되는 한편 머리를 장식하는 두식용(頭飾用)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장식용 빗으로는 가야지방에서 출토된 대모(?瑁)로 만든 것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빗의 재료가 고급화되고 장식도 화려해져 수발용보다는 장식용으로 뒷머리에 꽂았다. 조선시대에는 부녀자가 빗을 잃으면 실절(?節)한 것으로‚ 빗을 주는 행위는 청혼을 의미하였기에 빗을 머리에 꽂는 관습이 사라졌다. 빗의 일반적인 형태는 반달형 또는 각형이 대부분이다. 빗의 종류로는 얼레빗·참빗·면빗·상투빗·음양소 등이 있으며 용도가 각기 다르며 크기와 모양도 다채롭다. 빗은 일상 생활‚ 특히 여성들의 생활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정한 차림을 중시하여 매일 아침의 첫 일과는 빗질로 시작하였다고 한다. 한편 빗은 조선시대 여인의 정절을 상징하여 남편을 잃은 부인은 남편의 관에 빗을 넣음으로써 수절을 다짐했고 본인이 사망하였을 경우에도 빗을 함께 묻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사라지는 풍물 (이규섭‚ 국민일보사 출판국‚ 1993) 조선조후기 궁중복식 (김영숙‚ 신서‚ 1999) 촌스러운 것에 대한 그리움 (김종태‚ 새벽‚ 1997) 한국복식문화사전 (김영숙‚ 도서출판 미술문화‚ 1998) <유사관련용어> 얼레빗‚ 면빗‚ 참빗‚ 상투빗‚ 음양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