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떡살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떡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떡 표면에 도장처럼 눌러 찍어 떡의 모양과 무늬를 찍어내는데 쓰는 도구. 이 떡살은 나무로 만들었으며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 선사시대 고분에서 떡시루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떡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떡에 무늬를 찍는 것을 `살 박는다`라고 하였으므로 이러한 기록으로 보아 떡살에 대한 구체적 기록이 없어도 그 역사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떡살은 나무·오지(붉은 흙)·자기·사기 등으로 만드는데‚ 원형·육각형·팔각형 등도 있으나 나무로 된 것은 긴 직사각형 모양이 많다. 그리고 사기떡살은 네모 모양도 있으나 둥근 모양이 많으며‚ 나무떡살은 한번에 대여섯 개씩 찍어내는데 비해 사기떡살은 대개 떡을 1개씩만 찍어낼 수 있다. 떡살의 문양에는 동물문·식물문·길상문(吉祥紋 : 부귀다복 등 기원을 의미)·국수무늬(장수와 해로를 바라는 의미)·태극무늬(우주의 근원을 나타냄)·빗살무늬·수레바퀴무늬 등 다양하다. 흰떡이나 절편의 표면에 참기름을 바르고 떡살을 대고 눌러서 문양을 새긴다. 〈참고문헌〉 옹기(정양모·이훈석·정명호‚ 대원사‚ 1991) 다식 떡살문양(김길성‚ 태양사‚ 1989) 한국의 떡과 과줄(강인희‚ 대한교과서‚ 1997) 한국민속대관2(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우리의 부엌살림(박록담·윤숙자‚ 삶과 꿈‚ 1997) 한국의 부엌(김광언‚ 대원사‚ 1997) 〈유사·관련용어〉 떡판‚ 다식판‚ 약과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