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막신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막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나막신은 나무를 파서 만든 신이다. 한자로 극‚ 목리(木履)‚ 목극‚ 목혜(木鞋)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신발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운두가 낮은 신인 이(履)와 발목 위까지 올라오는 화(靴)‚ 용도에 따라 마른신과 진신으로 나눈다. 그리고 재료에 따라 가죽으로 만든 신은 피혜(皮鞋)‚ 나무로 만든 것을 나막신‚ 종이로 만든 것을 지혜(紙鞋) 등으로 구분하였다. 비오는 날에는 나막신을 신거나‚ 가죽을 기름에 절이고 바닥에 징을 박은 진신을 신었다. 그러나 어린 남자아이가 신던 채극은 나막신에 색을 칠한 것으로 진신 뿐 아니라 마른신으로도 많이 신었다. 나막신은 주로 오동나무와 버드나무 같이 단단하고 가벼운 것으로 만들었으며 방수를 위하여 밀랍을 칠하기도 하였다. 나막신은 신분이나 나이에 구별 없이 널리 신었는데 무겁고 비활동적이어서 먼길을 갈 때나 말을 탈 때는 신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나막신은 걷는 태도가 오만하고 불순하다고 하여 천민이나 연소자는 어른 앞에서는 신지 못하게 하였다. 나막신은 본래 진흙땅을 밟기 위한 것으로 굽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 유물과 같이 굽이 없는 것도 있다. 대개는 굽이 앞뒤로 달려있는데 남성용은 앞뒤 굽이 뚜렷이 구별되어 있고 여성용은 인(人)자형으로 벌어져 있다. 특히 여성용의 나막신은 코끝이 날카롭고 매끈하게 되어있는데 이 유물은 현대에 등장한 고무신과 같이 납작하고 밋밋하다. 크기로 보아 어린이용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 교문사‚ 1999)‚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 59호(문화재 관리국‚ 1969)‚ 우리나라 신에 관한 연구(김지희‚ 한국복식학회‚ 1995)‚ 동북아시아 신문화에 관한 연구(조선희·이순홍‚ 한국복식학회‚ 1997) <사진자료> 한국복식 2천년(국립민속박물관)‚ 담인복식박물관(이화여대‚ 1999) <유사·관련용어> 신‚ 진신‚ 징신‚ 나무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