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비녀

추천0 조회수 13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비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부인의 쪽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 비녀는 원래 쪽진 머리가 흩어 지지 않게 하는 단순한 기능으로 제작되었다. 점차 신분에 따라 패용할 수 있는 호사스러운 장신구로 발전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졌고 값비싼 보석을 사용하여 만들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비녀의 사용은 <삼국사기 三國史記>에 차(釵)라는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으리라 추측된다.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한 것은 조선왕조 후기 영조(英祖) 때부터인 것으로 보인다. 영조 때에 가체의 사치를 금하기 위하여 모든 부녀의 머리 모양을 쪽으로 하도록 쪽머리가 일반화되자 비녀의 사용이 일반화 되었고 비녀의 모양이 이때부터 다채로워졌다. 모양은 한쪽 끝이 뭉쳐져 빠지지 않게 되었으며 그 부분을 비녀머리라 부르는데‚ 비녀머리에 장식이 있는 비녀를 꾸민 잠‚ 별로 꾸밈이 없는 것을 민비녀라고 한다. 비녀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금(金)‚ 은(銀)‚ 백동(白銅)‚ 놋(鍮)‚ 진주(眞?)‚ 옥(?)‚ 영락(瓔?)‚ 비취(翡翠)‚ 산호(?瑚)‚ 나무‚ 대‚ 뿔‚ 뼈 비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비녀머리 형태의 장식에 따라 용잠(龍簪)‚ 봉잠(鳳簪)‚ 원앙잠(鴛鴦簪)‚ 불두잠(佛頭簪)‚ 오두잠(烏頭簪)‚ 어두잠(魚頭簪)‚ 매죽잠(梅竹簪)‚ 죽잠(竹簪)‚ 화엽잠(花葉簪)‚ 가란잠(加蘭簪)‚ 목련잠(木蓮簪)‚ 모란잠(牡丹簪)‚ 석류잠(石榴簪)‚ 국화잠(菊花簪)‚ 초롱잠(草籠簪)‚ 호도잠(胡桃簪)‚ 두잠(豆簪)‚ 민잠(?簪)‚ 말뚝잠‚ 버섯잠 등 많은 형태가 있다. 크고 긴 것은 의식용으로‚ 작고 짧은 것은 평상시에 꽂았다. 조선시대에는 존비귀천(尊卑貴賤)의 차별이 심하여 금‚ 은‚ 주옥으로 만들어진 비녀는 상류계급에서나 사용할 수 있었으며‚ 서민층 부녀들은 나무‚ 각(角)‚ 골(骨) 등으로 된 비녀만을 사용하였다. 비녀의 형태도 용잠·봉잠 등은 예장(藝場) 할 때에 다리를 드린 큰 낭자 쪽에 꽂았고‚ 다른 것도 형태‚ 재료에 따라 계절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