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읍물선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읍물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고문서는 공형(公兄)‚ 부공형(副公兄)‚ 호방(戶房)에게 지급한 읍물선(邑物膳) 내용이다. 연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공형(公兄) 조선시대에 각 고을의 호장(戶長)·이방(吏房)·수형리(首刑吏)의 3관속(官屬)을 이르는 말. 고려시대의 형(兄)·소형(小兄)·대형(?兄) 등 관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후에는 아전(衙前)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조선시대 지방의 관찰사나 수령 아래 6방(房:이·호·예·병·형·공)이 있었고 6방 가운데 이방·호방·형방이 중심이 되었는데‚ 그 수리(首吏)를 3공형이라고 하였다. 호방의 수석인 호장은 수령이 없을 때 그 직무를 대행하였고 그 사무는 이속(吏屬)들이 맡았다. 이러한 이속들을 아전·서리(胥吏)·이서(吏胥)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양반층의 배타적 특권이 강화되면서 문무관료집단과 엄격히 구분되었고 철저한 신분차별로 인하여 관료로 진출하는 것이 억제되었다. 양반관료체제 아래 하급 행정업무나 지방의 말단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특수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1445년(세종 27) 외역전(?役田)이 폐지된 뒤에는 일체의 과전이나 녹봉이 지급되지 않아 대민업무(對民業務)에 종사하면서 일반백성들에 대해 갖가지 수탈과 부정이 자행되어 조선시대 대표적인 사회적 병폐가 되었다. *물선(物膳) 물선(物膳)은 왕실에 올릴 음식의 재료를 적은 것이다. 궁중에서 쓰이는 물자는 모두 궁 밖에서 생산되는 것들로 일일이 반입하게 된다. 음식의 경우는 각 지방의 토산물 또는 특산물들이 공물(貢物) 또는 진상(進上)의 형태로 궁중에 들어오게 된다. 진상품은 궁중의 일상생활인 제향(祭享).빈례(賓禮).사여(賜與) 등에 소용되었다. 조선시대의 진상에 대하여 『경국대전(經國?典)』.『만기요람(萬機要覽)』.『탁지지(度支志)』.『대전회통(?典會通)』.『공선정례(貢膳定例)』 등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조선이 종주국인 명나라에 보내는 방물(方物) 또는 공물에 대해서는 진헌(進?)이라 하였고‚ 국내의 왕실에 올리는 것은 진상(進上)‚ 공상(供上)이라고 하였다. 진상의 명목은 물선(物膳).방물(方物).제향(祭享).천신(薦新).약재(藥材).천자(薦子) 및 별례(別例)진상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 물선(物膳)진상 물선은 음식의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왕실에 올리는 것이다. 물선진상을 진선(進膳)이라고도 한다. 또한 거의 비슷한 것으로 별진상물선(別進上物膳)‚ 무시(無時)진상‚ 별선(別膳)‚ 별찬(別饌)이라고도 불리운다. 다른 별선에 비하여 물선진상은 삭선(朔膳) 또는 월선(月膳)이라고도 한다. 이는 다른 진상은 부정기적인 것에 비하여 물선은 매월 정기적kr/cuisine/kind_everyday.htm이기 때문이다. 물선의 범위는 국왕‚ 왕비‚ 왕세자는 물론 전대의 왕이나 왕비가 계신 경우는 그들에게도 해당되었다. 국초에는 명확한 규정이 없어서 감사(監司) 등의 진상책임자인 지방관들이 임의로 하였으나 세종 즉위 후에 진상 시기 및 횟수를 정하고 예조에 명하여 그 물목을 정하였다. (2) 물선의 물종 삭선(朔膳)은 매월 초하루에 바치는 물종으로 각 고을마다 다른 것을 바친다. 물선의 기록으로 조선시대의 각 고을의 특산물을 잘 알 수 있으며‚ 또한 물종의 계량 단위도 알 수 있다. 물선은 음식에 쓰이는 곡류.소채류.어패류.해초류.육류.건어물.양념류.과실류 등의 재료는 물론이고‚ 각지의 명산품 중 젓갈.포.정과.산자.장류 등 이미 완성된 음식도 포함되어 있다. <참고문헌> http://www.food.co.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