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예기류(초)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예기류(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요> 예기에 관한 규정을 골라 모아놓은 책 *예기 禮記 :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 49편(編). 오경(五經)의 하나로‚ 《주례(周禮)》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三禮)라고 하며 《의례》가 예의 경문(經文)이라면 《예기》는 그 설명서에 해당한다. 그 성립에 관해서는 분명치 않으나‚ 전한(前漢)의 대성(戴聖)이 공자(孔子)의 제자를 비롯하여 한(漢)시대에 이르는 많은 사람들의 손으로 된 《예기》 200편 중에서 편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곡례(曲禮) ·단궁(檀弓) ·왕제(?制) ·월령(月令) ·예운(禮運) ·예기(禮器) ·교특성(郊特?) ·명당위(明堂位) ·학기(學記) ·악기(樂記) ·제법(祭法) ·제의(祭儀) ·관의(冠儀) ·혼의(婚儀) ·향음주의(鄕飮酒儀) ·사의(射儀) 등의 제편(諸篇)이 있고‚ 예의 이론 및 실제를 논술한 것이다.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學)》 《중용(中庸)》도 이 중 한 편이다. 《예기정의(禮記正儀)》는 후한(後漢) 정현(鄭?)의 주(注)‚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574-648)의 소(疏)로 되었으며‚ 《예기》의 주석서로 통용된다. <참고문헌> 야후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