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논어언해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논어언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 선조(宣祖)때 《논어(論語)》를 한글로 번역한 책. <논어> -명칭과 편자 《논어》라는 서명(書名)은 공자의 말을 모아 간추려서 일정한 순서로 편집한 것이라는 뜻인데‚ 누가 지은 이름인지는 분명치 않다. 편자에 관해서는 숭작참(崇爵讖)의 자하(子?) 등 64제자설(六四弟子說)‚ 정현(鄭?)의 중궁(仲弓) ·자유(子游) ·자하(子?)설‚ 정자(程子)의 증자(曾子) ·유자(有子)의 제자설‚ 그 밖에 많은 설이 있으나 확실치 않다. 현존본은 <학이편(學而篇)>에서 <요왈편(堯曰篇)>에 이르는 20편으로 이루어졌으며‚ 각기 편 중의 말을 따서 그 편명(篇名)을 붙였다. <학이편>은 인간의 종신(終身)의 업(業)인 학문과 덕행을‚ <요왈편>은 역대 성인의 정치 이상을 주제로 하였다. 이처럼 각 편마다 주제가 있기는 하나‚ 용어가 통일되지 않았고‚ 같은 문장의 중복도 있다. 특히 전반(前半) 10편을 상론(上論)‚ 후반을 하론(下論)이라고 하는데‚ 그 사이에는 문체나 내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성립 《맹자(孟子)》나 《순자(荀子)》 등 옛 문헌에는 공자의 말이 ‘공자왈’ ‘중니왈(仲尼曰)’ ‘전왈(傳曰)’이라고 인용되었으나‚ 그것이 논어에 기재된 것과 반드시 같은 것도 아니며‚ 또 논어가 성립되었다는 것을 제시하는 기술(記述)도 없다. 그러나 한(漢)나라 때에는 제(齊)나라 학자의 <제론(齊論)> 22편‚ 노(魯)나라 학자의 <노론(魯論)> 20편이 전해졌고‚ 따로 공자의 옛집의 벽 속에서 <고론(古論)> 21편이 나왔다. 한(漢)의 장우(張禹)는 제 ·노 양론을 교합(校合)하여 <장후론(張侯論)> 20편을 만들었고‚ 이어 후한(後漢)의 정현(鄭?:127-200)은 이 세 가지와 고론을 교합하였다. 이 정현본(鄭?本)을 바탕으로 위(魏)의 하안(何晏)이 《논어집해(論語集解)》라는 주석서(註釋書)를 저술함에 이르러 현존본의 원문이 결정되었다. 근대에 와서 내외의 학자들이 공자의 가르침의 근본을 추구하여‚ 여러 각도로 논어의 문헌을 비판하고‚ 논어성립까지의 전승계통(傳承系統)을 탐색하였다. 한편 한(漢)나라까지의 증보(增補)의 경과를 더듬는 등 많은 가설(假說)을 내세우고 있으나‚ 아직 정설(定說)은 수립되지 않았다. -내용 엄밀히 말하면‚ 어느 정도로 공자 본래의 가르침을 전하는가가 문제다. 하지만 이것을 이해하는 데에는 논어가 불가결한 문헌임에는 틀림없다. 논어의 문장은 간결하면서도 수사(修辭)의 묘를 얻어 함축성이 깊다. 또한 문장간의 연계가 없는 듯하면서도 깊이 생각해보면‚ 공자의 인격으로 귀일(歸一)되어 있다. 공자의 불요불굴(不撓不屈)??)에 의한 집주 통일화(集註統一化)가 이루어졌다. 특히 주희(朱熹:1130-1200:주자)가 《사서(四書)》로 추존(推尊)하고‚ 이를 통일하여 《논어집주(論語集註)》(新註라고도 한다)를 저술한 후에는 이것이 고주에 대체되었다. 중화민국 초기에는 구문화(舊文化) 개조를 위하여 공교(孔敎) ·논어 비판이 행하여졌다. 그 후에도 계속되고 있으나‚ 연구가 지속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한국에도 일찍부터 도래(渡來)되어 한학(漢學)의 성행으로 널리 보급되고‚ 국민의 도덕사상 형성의 기본이 되었다. 구미(歐美) 각국에도 연구서나 번역서가 많으며‚ 최근에는 미국에 특히 많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 의 구도(求道)의 태도‚ 관용(寬容) 중에서도 사람을 이상선(理?善)인 ‘인(仁)’으로 이끌고야 마는 교육‚ 그리고 공자를 중심으로 하여 겸허(謙虛)한 안연(顔?)‚ 직정(直?)의 자로(子路)‚ 현명(賢明)한 자공(子貢)‚ 그 밖의 제자들의 각기 개성에 따른 상호간의 독려 등‚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인도주의(人道主義) 사상과 자각자율(自覺自律)의 도덕설(道德說)을 제시한 공자학단(孔子學團)의 활동이 잘 묘사되었다. 모든 내용이 인생 경험의 깊은 영지(英智)의 결정(結晶)으로 음미할수록 가치가 있는 교훈들이다. -전래 유교의 경서는 많지만‚ 그 중에서 논어는 효경(孝經)과 더불어 한(漢)나라 이후에 지식인의 필수 서책이 되고 있다. 그 해석의 전거(典據)가 된 것은 《논어집해(論語集解)》(古註라고도 한다)이다. 송(宋)나라 때에는 유교의 공맹사상(孔孟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