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밀양박씨세보

추천0 조회수 1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밀양박씨세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밀양박씨 (密陽朴氏) 1. 관향(貫鄕)의 유래(由來) 밀성박씨(密城朴氏)의 시조 박언침(朴彦沈)은 신라 경명왕(景明?)의 팔대군(八?君) 중(中) 장자(長子)로 밀성대군(密城?君)의 봉함을 받아 관향이 유래하며 칠대손(七代孫) 태사공(?師公) 박언부(朴彦孚)와 오대(五代)에 걸쳐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졌고‚ 수대(數代)에 걸쳐 높은 벼슬을 지냈으며 지금 밀양 영남루(嶺南樓)에 밀성대군을 향사(享祀)하는 단소(壇所)와 밀성재(密城齋)가 있고 밀성박씨(密城朴氏)를 지금은 밀양박씨(密陽朴氏)로 한다. 2. 이거(移居)와 분파(分?) 1) 전객령파(典客令?) 전객령파(典客令?)는 밀성대군(密城?君) 박언침(朴彦沈)의 13대손(代孫)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박영균(朴永均)의 3자중 차자(次子)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 시(諡) 충의공(忠毅公) 박천경(朴?卿)이 조선 정종조(定宗朝) 중정대부전객령(中靖??典客令)을 지내 후손을 전객령파(典客令?)라 하며‚ 사대손(四代孫) 박승백(朴承伯)은 조선 중종조(中宗朝) 순천교수(順?敎授)와 경상도순무어사(慶尙道巡撫御使)로 재임시 나라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그의 자(子) 박덕순(朴德純)은 미관(未官)의 몸으로 진주(晋州)에서 성주(星州) 륜동(倫?)에 피신하여 은거했다. 이에 후손들은 벼슬을 멀리하고 학문에만 열중하여 설봉(雪峰) 박찬(朴澯)‚ 사옹 박명윤(朴明胤)‚ 학연(學?) 박진구(朴震耉)‚ 인재(仁齋) 박성시(朴聖時) 등은 사림에 추앙을 받았고 전객령 후손들은 성주(星州) 일원에 산거(散居)한다. 2) 사문진사공파(四門進士公?) 밀성대군(密城?軍) 박언침(朴彦沈)의 구대손(九代孫) 사문진사(四門進士) 박원(朴元)을 파조(?祖)로하며 사문진공(호(號) 용암(龍岩)) 박운(朴雲)은 사마시관(司馬試官)을 역임했고 17대손(代孫) 박효봉(朴孝鳳)은 선산군(善山郡) 양산에서 성주(星州) 초전(草田) 용봉으로 이거(移居)하여 집성촌(集?村)을 이루어 살고 있다. 3) 좌상공파(左相公?) 밀성대군 박언침(朴彦沈)의 13대손(代孫) 시(諡) 문정공(文定公) 박춘(朴椿)은 여말 밀직부사(密直府使) 좌상(左相)에 봉임(?任)되여 후손은 좌상공파라 하며‚ 문정공(文定公) 박춘(朴椿)의 13대손(代孫) 청암(?庵) 박규망(朴圭望)은 전남 구례에서 성주(星州) 갈전에 입향하여 후손들이 성주(星州)일원에 산거(散居)한다. 4) 규정공파(糾正公?) 밀성대군 박언침(朴彦沈)의 15대손(代孫) 규정공(糾正公) 박현(朴鉉)(사헌부규정(司憲府糾正))을 파조(?祖)로하여 후손을 규정공파(糾正公?)라하며 오대손(五代孫) 청제공(?齊公) 박(朴(仙谷公) 박안현(朴顔賢)은 선조때 도승지(都承旨)를 지내고 선곡공(仙谷公)의 사세손(四世孫)인 박시윤(朴時潤)은 숙종朝 때 금수면(金水面) 죽천으로 이주한 입향조이다. 손(孫) 박계도(朴繼道)는 영조 때 무선전관(武宣傳官)을 지냈고 질(?) 박수민(朴秀敏)은 정조 때 성균진사(成均進士)를 했다. 후손들은 수름재를 중심으로 살고 있다. 5) 인(忍) 당(堂) 파(?) 밀성대군 박언침(朴彦沈) 15대손(代孫) 박소(朴昭)(인당공(忍堂公))를 파조(?祖)로 하고 인당(忍堂)의 오대손(五代孫) 박윤련(朴閏連)이 임란시(壬亂時) 밀양에서 대가(?家) 금산리(金山里) 삼산(三山)으로 세거(世居)했으며 인당(忍堂)의 12대손(代孫) 박준익(朴駿翼)이 예조참판(禮曹參判)을 지냈다. 6) 국(菊) 당(堂) 파(?) 밀성대군의 15세손(世孫) 박흥생(朴興生)의 호(號)는 국당(菊堂)이다. 고려 공민왕(1374년)때 진사급제(進士及第)로 려흥(驪興)과 춘천(春川)의 교수(敎授)와 선교랑(宣敎郞)을 역임했다. 밀성대군(密城?君)의 22세손(世孫) 숙종조(肅宗祖) 어모장군(禦侮將軍) 충무위부사과(忠務衛副司果)를 지낸 박문업(朴文業)은 벽진(碧?)·가수촌(加樹村) 입향조(入鄕祖)이며‚ 후손은 성주(星州)일원에 산거(散居)한다. http://www.seongju.go.kr/tour/root_main02-21.htm ) 문(門)의 육대손(六代孫) 박종현(朴宗賢)은 조선 세조조(世祖朝)에 단종복위운동에 연루되어 성주 죽관에 은거하여 후손들이 살았다. 팔대손(八代孫) 박증영(朴增榮)(눌제공(訥齊公) 성종(成宗) 23년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오형제는 갑자사화(甲子士禍)와 중종(中宗) 14(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었다가 중종 28년(1533) 귀양에서 풀려 청주 목과동으로 낙향하여 살았다. 눌제공(訥齊公)의 이자(二子) 박혜(朴蕙)(주부공(主簿公))의 손(孫)인 박유현(朴有賢)(증(贈) 참판(參判)‚ 호(號) 한산제(寒山齊))는 인조(1636) 병자호란 때 란(亂)을 피해 자(子) 박안련(朴安連)을 데리고 성주(星州) 거곡(巨谷)으로 피난함에 따라 주부공(主簿公) 후손이 성주(星州) 선남(船南) 도성리(道成里)에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 규정공(糾正公) 11세손(世孫)인 선곡공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