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약잔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약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체로 된 약을 담거나 따를 때 사용하던 약성주기의 하나이다. <한방약기구> 한방약기구는 한방에서 약을 먹기까지 제조‚ 보관 등을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 이것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구에서부터 한약을 제조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한방의약기구는 쓰이는 용도에 따라 채약도구‚ 약탕기‚ 약성주기‚ 제약기‚ 약장기 약도량형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채약도구는 약초를 채취할 때 사용하던 기구로서‚ 약삽‚ 약호미‚ 꼬챙이‚ 약통‚ 약망태기 등을 들 수 있다. 약탕기는 약을 달일 때 쓰는 기구를 말하여‚ 약탕관‚ 초두‚ 조두‚ 약두구리‚ 약솔‚ 약당 등이 있다. 약성주기는 액체로 된 약을 담거나 따를 때 사용하던 용기를 말하며‚ 약주전자‚ 약잔‚ 약완‚ 약호 등이 있다. 약장기는 넓은 의미로 약을 저장할 때 쓰는 기구 모두를 뜻하므로 약장을 비롯하여 약단지‚ 약병‚ 약주머니‚ 약함‚ 약합‚ 약상자‚ 약통‚ 약궤‚ 약롱같은 것이 속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약재를 분류하여 따로따로 넣어두는 여러 개의 서랍이 달린 나무장과 약단지‚ 약갑‚ 약대‚ 약봉지 등을 가리킨다. 제약기는 약을 만드는데 쓰이는 기구 및 도구를 말하며‚ 이남박‚ 약강판‚ 협도‚ 약작두‚ 약연‚ 약탕기‚ 약반죽기‚ 제환기‚ 약시루‚ 약틀‚ 약숟가락‚ 약칼‚ 약깔대기‚ 약젓가락 등이 있다. 약 도량형기는 약의 무게를 달 때 쓰던 저울류로서‚ 손저울과 천칭형식의 저울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한방의약기구의 재료로는 주로 금‚ 은‚ 옥‚ 유리같은 귀금속이나‚ 상아‚ 대나무‚ 오동나무 같은 고급재가 많이 쓰였으며‚ 크기는 대체로 작은 편이며‚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장식이 많이 쓰였다. <참고문헌> http://www.metro.taegu.kr/culture/info/herb/herb4.html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