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안경집

추천0 조회수 5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안경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안경을 보관하는 갑이다. <유래및 발달 과정> 안경은 우리나라에 17세기 초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왔다. 당시에는 윗사람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은 무례한 행위였다. 오늘날의 안경과는 달리 알은 유리 대신에 경주 남산에서 생산되는 투명한 돌을 사용하였고‚ 테는 대모(?瑁)나 뿔로 만들었다. 안경이 보편화되면서 안경집도 다채로운 모습으로 등장하였다. 안경집이란 글자 그대로 안경을 넣어 두는 집인데‚ 안경의 보호와 휴대를 위해서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물건이다. 옛사람들은 안경착용을 부끄럽게 여겨 남이 보이게 다니기보다는 도포자락에 안보이게 넣고 다녔다. 그러나 점차 안경의 착용이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겨지게 되자 안경집을 허리춤에 매다는 것이 유행하였다. 그래서 초창기 안경집에는 끈이 없었지만 점차 밋밋하던 안경집이 화려해지면서 끈도 생기게 되었다. 노인들은 담배쌈지와 함께 안경집을 허리에 차고 다녔다. 초기의 안경집은 보호와 휴대의 기능만을 갖춘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미적인 요소에 신경을 더 많이 쓰게 되면서 안경집의 재질이나 문양도 다양해졌다. 초기에는 주로 기능만을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안경집의 재료로 견고한 나무가 많이 쓰였다. 나무에는 피나무‚ 은행나무‚ 오동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나무의 속을 파낸 다음 다듬어서 옻칠이나 기름칠한 것이 대부분이다. 여기서 발전한 것이 대추나무로 만들어진 안경집인데 이 안경집에는 외관상에 신경을 쓰기 시작하면서 사군자‚ 십장생‚ 만(卍)자문‚ 연속 꽃무늬‚ 신선도‚ 화조‚ 포도 등 온갖 문양이 새겨졌다. 점차 발전을 하게 되면서 대나무가 흔한 고장에서는 안경집의 재료로 쓰인 통나무는 파기 힘들어 대나무를 반으로 쪼개 부레풀로 붙여 만들기도 했으며 대나무 껍질을 얇게 벗겨 엮어서 문양을 낸 채상(彩箱) 안경집도 있었다. 그러다가 마침내는 예술품의 경지에 이를 만큼 섬세한 조각과 그림‚ 색채 등이 가미되어 하나의 장식품으로서 독특한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온양민속박물관 http://211.34.96.8/cahp/dhtml/scriptsexample/opt41.html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