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게다래끼

추천0 조회수 10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게다래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대나무를 잘게 잘라 엮은 바구니로 윗면은 넓고 바닥면은 좁게 만들었다. 윗면이 넓은데 비해 입구는 좁은 것이 특징이다. 성게는 가시가 많기 때문에 옆에 끼고 다니면 가시가 몸을 찌를 수 있기 때문에 윗면을 넓게 만들었을 것이다. <성게> 섬게라고도 한다. 옛 문헌에서는 해구(涇毬)·해위(涇蝟)라 하였다. 우리말로는 밤송이조개라고 하였는데‚ 《자산어보》에서는 보라성게를 한자로 율구합(栗毬蛤)이라 하였다. 몸은 공 모양이거나 공을 반으로 가른 모양‚ 심장 모양 또는 쟁반 모양이다. 팔이 없다. 체벽 표면은 섬모가 나 있는 표피로 덮여 있고 내부는 탄산칼슘 성분의 두꺼운 골판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서로 맞물린 채 단단한 껍데기를 이룬다. 골판은 가시가 없는 5줄의 보대(步帶)와 긴 가시가 있는 5줄의 간보대로 나뉘는데‚ 보대에는 여러 개의 관족이 2줄로 배열되어 있다. 간보대의 긴 가시는 움직일 수 있어‚ 성게류는 이 가시와 관족으로 이동한다. 체표에는 갈래가시 또는 둥근가시가 있으며 이들 가시에는 감각기능이 있다. 입은 몸통 아랫면에 있고 항문은 입 반대쪽인 윗면 또는 뒷면에 열린다. 항문 주위에는 5개의 생식판과 1개의 천공판이 있고 생식판에는 각각 1개의 생식공(生殖孔)이 열려 있다. 입이 있는 부위를 특별히 위구부(圍口部)라고 하는데‚ 이곳의 가시는 이가 되고 내부에 아리스토텔레스등(燈)이라고 하는 석회질의 억센 이빨로 된 저작기(咀嚼器)가 있다. 소화관은 길고 단순하며 체강 속을 돌면서 위에 연결된다. 식성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해조(涇藻)나 바위에 붙어 사는 수생동물을 잡아먹는다. 자웅이체이고 5개의 오렌지색 난소와 젖빛 정소가 간보대 안쪽에 붙어 있다. 종류는 보통 겉모습이 일정한 정형류와 보는 방향에 따라 모습이 다른 부정형류로 나뉜다. 정형류의 대표종은 보라성게이고 부정형류는 염통성게가 대표적이다. 전 세계에 약 900종이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약 30종이 산다. 나팔성게·흰수염성게 등은 몸 표면에 독주머니가 달린 가시가 있어 사람의 피부에 박히면 잘 부러지고 잘 빠지지 않아 고통을 받는다. 피부가 발갛게 부어올라 통증을 느끼는데‚ 심한 경우 오한이 나거나 심장의 고동이 높아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보라성게·분홍성게·말똥성게 등은 생식선에 독특한 향기가 있어 날것으로 먹거나 성게젓을 담가 먹는다. 한국의 동해안에는 보라성게가 많이 서식하여 주요 수산자원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두산대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