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부적판

추천0 조회수 8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부적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부적은 주로 회화나무 열매 씨로 누렇게 물들인 괴황지에 그림이나 글씨‚ 기호 등을 붉은 색의 천연광물질인 주사(朱砂)로 그려서 악귀를 물리치거나 복을 비는 데 쓰이던 주술적 도구들을 가리킨다. <일반적형태 및 특징> 부작‚ 음부‚ 신부라고도 하며‚ 때로는 서양의 마스코트처럼 맹수의 발톱‚ 이빨‚ 수염 등의 부적도 널리 쓰였다. 주로 문에 붙이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는데 때로는 베개 속에 넣거나‚ 심지어는 태워서 먹기도 하였다. 주사의 가루를 기름‚ 꿀 혹은 설탕물에 개서 사용하였으며 영사 또는 먹을 갈아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영사는 거울 뒷면에 주로 바르기 때문에 경면주사( 鏡面朱砂)라고도 하는데 유황과 수은을 섞어 높은 온도에 고아서 만드는 인공주사인 셈이다. 부적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원시시대의 유적인 경남 울주의 반구대와 경북 고령의 암각화 혹은 유명한 처용화상 같은 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겠다. 동학혁명 때는 ‘궁을부’라는 부적이 유행했는데‚ 이 부적을 태워서 서로 나눠 먹음으로써 화살이나 총알을 피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귀신의 얼굴이나‚ 호랑이‚ 독수리‚ 용‚ 물고기 같은 동물을 그리기도 하고‚ 일(日)‚ 월(月)‚ 천(?)‚ 왕(?)‚ 궁(弓)‚ 금(金)‚ 수(水) 등의 글자를 혼합하거나 파자하여 난해한 글자 모양을 만들어 사용했다. 가장 많은 종류의 것이 병부(病符)인데 이는 두통‚ 치통‚ 복통‚ 생리통 등 참기 어려운 통증에 진통 효과를 바라는 것과 각종 전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많이 쓰였다. 이때에는 아픈 부위에 직접 붙이거나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태워서 먹기도 하였다. 이는 주사 자체가 약재로 쓰이는 광물질이기 때문이었다. 절에서는 나무판에 새겨 대량으로 찍어서 공급하기도 했으며‚ 앞뒤로 찍어서 오려 놓고 해당되는 사람에게 나눠주던 것으로 질병에 관련된 내용이 13종에 이른다. <참고문헌> http://www.handok.co.kr/Intro/HomeDoctor/165/ongogisin.ht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