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 호(白磁 壺)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 호(白磁 壺)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는 철분의 함량이 거의 섞이지 않은 곱게 수비된 백자 태토로 만들어 투명유를 씌워 재벌구이한 흰색자기이다. 백자는 그 위에 어떤 안료로 그림을 그렸느냐에 따라서 순백자‚ 상감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진사백자 등의 종류로 분류된다. 이중 순백자의 대표적 양식인 소문백자는 그릇 표면에 전혀 장식이나 문양이 없고 백색의 단일색으로 된 것으로 조선 초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계속해서 만들어졌다. 백자는 시기마다 다른색을 나타내고 있는데 대체로 15세기에는 유백색‚ 16세기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것도 만들어진 곳 특히 중앙 관리 아래에 있던 분원 생산품과 지방 가마에서 만들어진 것과는 유색에 있어서 현격한 질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백자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기형이 항아리다. 백자 항아리는 조선 시대가 추구하던 검소하고 실용적인 유교적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선 초기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국가와 사대부가 가장 중시하던 제사를 위한 제기(祭器)와 각종 잔치를 위한 예기(禮器)로서 격식을 갖추어 만들어졌고 왕가의 태(胎)를 담는 태 항아리나 무덤에 함께 넣는 명기들도 만들어졌다. 그러나 후기에는 지배세력의 확대로 사대부를 포함한 일반 민가에서도 생활상 필요한 용기들로 만들어지기 시작해 각종 양념 항아리나 젓갈 항아리‚ 물 항아리‚ 쌀 항아리들이 대‚ 중‚ 소의 작고 큰 항아리로 만들어졌다. 기형도 초기에는 풍만하고 둥근 기형이 주류를 이루나 후기가 되면 구연이 높게 직립하거나 동체에 각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즉 조선시대 백자 항아리들은 시대의 환경과 생활 요청에 따라 다르게 변천되었다. 이 백자 호는 구연이 전처럼 외반되고 동체 중앙이 최대 동경을 이루는 주판알 모양의 기형이다. 굽은 투박한 수직굽이고 유색은 연한 녹청색이 도는 회백색으로 빙렬이 많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