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 상감 국화문 8각 접시(靑磁 象嵌 菊花文 八角 ?匙)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상감 국화문 8각 접시(靑磁 象嵌 菊花文 八角 ?匙)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현대의 일반적인 접시는 측면의 높이가 낮고 옆으로 짝 벌어진 기형을 나타내는 반면 청자 8각 접시는 측면의 높이가 2-3cm정도 높게 세워지고 측면이 8개의 면으로 깎여 있는 기형을 말한다. 8각 접시는 고려시대 상감 청자에 많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주로 도범(陶范)에 찍어서 만드는 경우가 많다. 문양은 외측면(?側面)에 흑‚ 백상감(黑‚ 百象嵌) 기법을 이용하여 주로 국화문(菊花文)을 각 면(面)에 단독으로 간략하게 새기는 경우가 많으나 화문(化文‚ 꽃무늬)‚ 운문(雲文‚ 구름무늬)‚ 모란문(牧丹文)을 1개나 쌍(雙)으로 새기는 경우도 있다. 내측면(內側面)에는 문양을 새기지 않거나 국화문이나 모란문 같은 화문과 뇌문(雷文)을 압인각(押印刻‚ 찍어서 나타내는 것)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내면 바닥 중앙에 는 간지명(干支銘)을 새기는 경우도 있다. 이 8각 접시는 내면 바닥이 평평한 후 측면이 거의 수직에 가깝게 꺾이면서 직구(直口)의 구연(口緣)으로 연결되는 기형이다. 기벽은 두툼하고 굽은 넓고 낮은 다리굽으로 굽 안바닥에 커다란 규석 받침을 3개 놓고 번조하였다. 유색(釉色)은 회색이 도는 연한 청색이며 내면 바닥에는 잡물이 약간 떨어져 있다. 문양을 보면 내면 바닥 중앙에는 단독 화문(花文)‚ 내측면의 각 면(面)에는 화문(花文) 1개씩‚ 내측 구연에는 뇌문대(雷文帶)가 압출양각 되어있다. 외측면에는 백상감(百象嵌) 횡선문(橫線文)이 구연(口緣)과 저부(底部) 가까이에 각각 1줄씩 돌려진 후 각 면(面)마다 백상감(百象嵌) 방형문(方形文; 사각형 무늬)을 시문하였다. 각 면(面)의 방형(方形) 윤곽선 안에는 작은 국화문이 모두 1쌍씩 흑‚ 백상감(黑‚ 百象嵌)되어 있다. 측면 5곳에 균열(금이 간 것)이 있고 구연 가장자리는 3곳이 갈라져있다. 내측면 1곳은 유약이 깨져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