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 완(靑磁 ?)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완(靑磁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는 유약 가운데 미량의 철분이 있어 환원염(還元焰)에 의해 구워지는 과정에서 청록색의 유조(釉調)를 띠게 되는 자기이다. 그러나 환원이 불충분하거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유색이 녹황색이나 회녹색을 띠기도 하고 때로는 산화되어 황갈색을 띠는 것도 있다. 청자의 시작은 중국으로 기원은 은(殷)·주(周)·전국(戰國) 시대 무렵에 중국 각지에서 만들어진 회채도(灰彩陶)에 있는 것으로 추측한다. 이것이 중국 남부지방에서 발달하여 삼국×서진(西晉) 무렵에는 회녹색의 고월주요(古越州窯:古越窯)라 불린 원시적인 청자가 절강성[?江省]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만들어졌다.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말기에는 중국 북부에서도 제작되어 화려한 대작도 나타났다. 당말오대(唐末五代)에는 질과 양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각지에 유명한 청자 가마가 생겼고 특히 웨저우요[월주요; 越州窯]의 청자는 유명하였다. 송대(宋代)에는 웨저우요의 흐름을 이어받은 룽취안요[용천요; 龍泉窯]나 화북(華北)의 야저우요[요주요; 耀州窯]에 아름다운 청자가 구워졌고 그 영향을 받아 각지에 청자요(靑磁窯)가 생겼다. 한국에서는 고려 초기(10~11세기)에 강진요(康?窯)와 부안요(扶安窯)에서 독특한 청자를 만들어내면서 급속도로 성장하여 12세기 무렵에는 비색청자(翡色靑瓷)라 불리는 중국의 청자를 능가하는 뛰어난 청자를 구워내다가 13세기 후반부터 유조(釉調)×작풍(作風)이 점차 저하되어 고려 말기에는 쇠미해졌다. 청자 기형 중 하나인 완(?)은 차(茶)를 담을 때 사용하던 그릇으로 주로 고려 시대에 많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는 고려 불교의 넓은 전파와 함께 나타나기 시작한 선(禪)의 수행 방법이었던 좌선(坐禪)을 행할 때 정신을 맑게 해주는 차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즉 차완(茶?)은 당시 선망의 대상이 되었고 수요가 확대되면서 많은 청자 완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청자완은 외측면이 완만한 사선으로 벌어지면서 직구의 구연까지 이어지는 기형으로 문양이 없다. 내면 바닥 중앙에는 작은 내저원각(內底圓刻)이 있고 잡물이 떨어진 흔적이 있다. 굽은 거칠고 투박한 다리굽으로 내화토 비짐을 3곳에 놓고 번조하였다. 유색은 청록색으로 내외면을 모두 시유(유약이 발라짐)하였으나 외측면에 유약이 흐르거나 노태된 부분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