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뚜껑있는 굽다리접시(뚜껑)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뚜껑있는 굽다리접시(뚜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굽다리 접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 용기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그릇의 한 종류이다. 삼국시대에 굽다리접시가 아주 중요한 기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발전한 지역은 역시 신라와 가야지역이다. 고구려지역에서는 굽다리접시라는 기종을 보기 어렵고 백제 지역은 굽다리 접시가 적지 않게 제작되기는 하였지만 신라와 가야 지역만큼 풍부하고 다양하지는 못하다. 백제의 굽다리접시는 대체로 대각이 낮고 투창이 뚫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백제초기의 예는 서울 강남의 석촌동고분군의 움무덤이나 몽촌토성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굽이 낮고 작은 원공이 뚫리는 것과 같은 형식의 회색연질 혹은 회청색경질 굽다리접시 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낮은 다리의 굽다리접시류들은 배신만으로 보면 세발토기의 배신이나 뚜껑접시와 기형상으로 서로 통하는데 이점이 백제 굽다리접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서울지방에서 시작된 그러한 백제식 굽다리접시는 호서와 호남지방으로 퍼져나간다. 다만 백제지역 안에서도 충남 논산과 금산 등지에서는 대각이 높고 삼각형이나 원형의 투창이 뚫리는 것도 있어 가야지역의 굽다리 접시와 닮은 점을 찾기도 한다. 굽다리접시라는 기종이 가장 많이 제작되고 장기간 다양하게 발전한 지역은 단연 신라와 가야지역이며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보통 고고학자가 토기편년을 할 때에 형식편년의 기준으로 굽다리접시를 선택한다. 원삼국시대의 와질토기나 적색연질토기 굽다리접시가 4세기대로 넘어가면 도질토기로 제작된다. 낙동강을 경계로 하여 이동지역의 신라토기와 이서지역의 가야토기가 양식상으로 구분되어 따로 발전하는 단계는 대개 5세기에 들어와서부터이고 그 이전 4세기대의 토기는 흔히 ‘고식도질토기’단계라고 표현된다. 4세기의 토기에 지역적인 양식이 없었던 것은 아니고 신라와 가야 제 지역과 정치세력 권형과 토기 양식이 어느 정도 관계했던 5세기대에 비해 그러한 양상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던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기원후 4세기대 도질토기굽다기접시의 양식적인 특징을 보면 김해와 부산지역에서는 집시의 가장자리가 한번 꺾여서 마치 뚜껑받이처럼 된 굽다리접시가 유행한다. 대신 함안을 중심으로 하여 영남의 공(工)자를 연상시키는 굽다리접시가 주로 제작되었다. 4세기대 영남지방에서는 주로 뚜껑 없는 굽다리접시가 유행하였는데 4세기 후반 경에 뚜껑굽다리접시가 출현한다. 이 뚜껑굽다리 접시는 5세기대에 들어서면서 크게 발전하여 뚜껑 없는 굽다리 접시보다 비중이 더욱 커진다. 신라와 가야의 토기양식 분화는 주로 굽다리접시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이해하기 쉬운데 특히 다리의 형태와 굽구멍의 모습이 서로 잘 대비된다. 신라식 뚜껑굽다리접시는 다리의 통이 넓고 외형이 직선적인 철두원추형이다. 그리고 다리에 2단으로 투장을 뚫을 때 아래 단과 위단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사다리꼴의 넓은 구멍을 뚫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