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무늬 토기 항아리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무늬 토기 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민무늬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특징적인 토기이다. 민무늬토기는 빗살무늬토기에 비해 대체로 태토가 정선되지 못하고 기벽이 두터우며‚ 노천에서 낮은 온도로 구워졌기 때문에 흔히 적갈색을 띠고 있다. 기형(器形)의 측면에서 볼 때‚ 빗살무늬토기는 뾰쪽바닥과 둥근바닥이 많았지만 민무늬토기는 대부분이 납작바닥이라는 점이 큰 특색이고‚ 아울러 그릇에 목이 달린 토기가 많아진 것도 특색의 하나이다. 사발 ·보시기 ·접시 ·잔 ·항아리 등 다양한 기종(器種)의 민무늬토기는 각 지역별로 상당한 형태상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어‚ 압록강 하류 유역의 미송리(美松里)식 토기‚ 압록강 중류 유역의 공귀리(公貴里)식 토기‚ 두만강 유역의 공렬토기(孔列土器)‚ 청천강 이남의 평안도 및 황해도 지역의 팽이형 토기‚ 한강 유역의 가락(可樂)식 토기‚ 충남 일원의 송국리(松菊里)식 토기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초기 철기시대에 유행한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와 덧띠토기[粘土帶土器] 등도 민무늬토기의 범주에 포함된다. 민무늬토기는 BC 300년경부터 파급되기 시작한 철기(鐵器)문화와 함께 새로운 토기로서 두드림무늬토기[打捺文土器]가 등장하자 점차 소멸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기원 전후한 시기부터는 거의 사라졌다. 대신 종래의 민무늬토기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질(硬質)민무늬토기가 두드림무늬토기와 함께 유행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