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동하사동절목책(東下四?節目冊)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하사동절목책(東下四?節目冊)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동하면고문서는 조선시대 동래부 동하면(지금의 해운대구 일원)의 지방자치행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서로서‚ 이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소상하게 알려줄 뿐 아니라‚ 조선후기 지방행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동하면 고문서로서 보존되어 온 자료는 <동하면호적대장(東下面戶籍臺帳)> 1책을 포함 모두 30책이다. 이 문서는 東面 下端의 陸三?(中?‚ 右?‚ 左?)에서 涇雲臺?(涇?)과 더불어 함께 담당하고 있는 요역에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한 약조이다. 여기에는 涇雲臺 遊覽客의 接待와‚ 장산의 封山 熢燧 감독관의 접대‚ 右峴 지경의 驛站 내왕 대소 빈객의 접대‚ 그리고 立巖 및 涇雲臺 祈雨祭 때의 祭官下人 접대 등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어 있다. 해운대를 구경 오는 사대부 빈객의 접대는 대체로 陸三?에서 수행 下人의 접대를 담당하고‚ 涇?에서 鍮器‚ 盤器‚ 깔개(鋪陳) 등을 담당하며‚ 그 외에 釜鼎‚ 沙器‚ 燒木‚ 柴炭‚使喚軍‚ 轎子軍‚ 生稿草‚ 馬粮‚ 馬?‚ 竹木‚ ?小桶瓢子朴‚ 揮帳‚ 遮日 등의 물품과 인원을 각 동에서 나누어 분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순조 신미 이전‚ 영조 계미 이후에 작성된 것이라 보아야 할 터이고‚ 게다가 이 절목 가운데 `涇? ?長 張莫男`이라는 사람이 나오는데‚ <官牛節目> 말미에 `涇? 張莫男 雌牛一隻`이란 기록이 있으므로‚ <官牛節目> 과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문서라 하여야 마땅하니‚ 영조 45년 기축년(1769)에 작성된 것으로 보는 데 무리가 없다. 다만 `강희 갑오 이후 거의 100여년`이란 구절에 약간의 의문이 남는데‚ 이는 연대를 과장한 표현으로 보는 것이 좋은 듯하다. 이 문서의 후미에 辛未年과 癸酉年의 追節目이 추가되어 있는데‚ 이미 마련된 책자의 여백에 급급하게 추가 기입한 필사형태로 보아‚ 추록 연대는 改謄本이 작성된 이후인 서기 1811년과 1813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