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문수막새(鬼文수막새)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문수막새(鬼文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기와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사용되고 있으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모양과 명칭이 다르고 종류도 다양하다. 사용처와 형태에 따라 평기와‚ 막새‚ 서까래기와‚ 마루기와 특수 기와 등 20여종이 넘는다. 막새는 암·수기와의 한쪽 끝에 문양을 새긴 드림 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건물의 처마 끝에 사용되는 무늬기와이다. 수막새는 막새와 수기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막새는 가장자리 부분에 주연(周緣)이 있고 주연 안쪽에 蓮瓣이 있으며 연판 안쪽에 子房이 있고 자방안에는 蓮子가 있다. 수막새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으며 주연·연판·자방 등의 문양에 따라 시기적인 차이가 있다. 태토는 점토성이며 색조는 회갈색이고 소성은 양호하다. 주연은 連?文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였다. 막새 면에는 귀면문을 장식하였는데 鬼面文은 벽 사용으로 제작하여 건물에 부착하였다. 막새면 중앙에 돌출 된 코를 배치하고 상부에는 뿔과 눈을 ‚ 하부에는 벌려진 입을 배치하였다. 좌우 대칭이며 입 주위에는 수염을 장식하였다. 일부는 파손되었다. 막새 면의 귀면문 문양형태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기와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