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홍직필간찰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홍직필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홍직필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홍직필(?直弼) (정조원년 1777 ∼ 철종3년 1852)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백응(伯應)‚ 호는 매산(梅山)이다. 순조14년에 학행으로 천거받아 세자익위세마 장흥고봉사 지평 부사직 대사헌 역임. ?佛日 左顧 荷意之摯 而適値眩愁搖搖?懸風之旌 不克自持 ○負朋來之樂 尙留○○ 子範袖致手眞 欣然若更晤也 間來 旅度益復貞勝 懸?切切 所喩安念受業 爲之贊喜 負?從陟者 有名實之殊 或有有所求而求焉 或有有所慕而慕焉 今賢者 乃克輕身千里之遠 屈首三席之下 亶出於朝聞之苦裏 眞有欲罷不能者也 苟不固敦本而務實者 何以與此哉 持此心 爲之不已 庶幾弘闡師敎 不?宗傳 是爲日?所期望 而?不能致身其間 與聞攻堅於??鍾之答問也 魯論 ?已卒業否 斯書當作學者根本田地 畢生服用 而不可盡 非可了於三數月者也 幸取人道心四七設及聖凡心人物?等諸名理 作題目 入?議 而 裁於函丈 壹遵成訓 持守不移?何?何 疑不渙則信不篤 ?爲積久憤? 終底融釋?合 是爲農?兩先生爲學程度 吾輩所宜模準也 君子之學 不爲則已 爲則必要其成 成之者誠也 不誠則僞而已 幸諦斯意 益??于忠信作用進修之基址 申望申望 近齋集 當爲賢者謀 而在人之事 未可所必也 先儒遺書 在所?閱 用廣聞見 而?未若四書之簡而易知 約而易守 終申持循而弊也 朱先生嘗云 若理會得四書何書不可讀 何理不可求 何事不可處 願與在右交○而勿?也 朴季立屢違證約 苟非饑餓不出 卽因轉動不得 引領之餘 繼以傷?也 鄙人長時侍湯 方寸焦灼 更沒餘念可及 程課非直荊棘生口之爲??耳 力疾占報 不旣??旅?加? 丙戊孟?念五 記末 直弼頓首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