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충익간찰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충익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충익의 간찰 성대중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충익(李忠翊) (영조20년 1744 ∼ 순조16년 1816)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우신(虞臣)‚ 호는 초원(椒園)이다. 數宿 伏覺卒卒?? 春日 更寒 伏?動履際玖若何 此月忽又中旬仰?慨廓彌渙 弟衝頓氷泥 歸來 祇覺百骸 ?曹刺? ?臥未起之中 涇運之期 剋在卄八 凡事是處泮渙 愁?難狀 留衙改色狀題 書於臘初 故卽今該色輩 不肯循例出給 固是應然之事 欲卽粘呈 ○使家卒地赴京 歸期未定 此中事勢 ?是度日?年 故玖憑去便?是更煩 幸乞 到卽粘呈受題 ?付營便 而尙?遲緩不及事?令隨行書吏 私通於留在營門之首吏 ?令剋日傳致受答 無致中間一刻延滯 ?何?何 不然則西江之波 ?無補於枯肆 千萬千萬?念 此便 有去無回 故?是煩?耳 禦廳?事 懸保人屬去未回耳餘頭眩不備 伏?兄照 謹後狀上?事 若或書囑於幕中該掌人 則傳書受?之際 似當有助 諒爲之?何 甲辰二月卄日 忠翊拜 ?同室制座入納 椒園候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