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명현간찰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명현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유명현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유명현(柳命賢) (인조21년 1643∼숙종29년 1703)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사희(士希)‚ 호는 정재(靜齋)이다. 현종14년에 정시문과장원급제. 부수찬·사인·부제학·전라도관찰사·승지·형조판서 역임. 一時?? 西南各? 山河萬重 魂?亦不能及 吾輩 何可謂生在一世中也 五年相億 第切梁月之感 何來一札 忽破層溟 十回?? 眞箇他生?? 披瀉傾慰 當作何?懷也 仍審伊節 令京次啓居神相?裕 尤用昻慰 書到後 繼聞 令蒙賜環之典 生入?關 聖??? 驚喜何異在己 臺啓?已停止 而欲向湖中舊樓否 去留未詳良可耿耿 ?弟罪? 百謫難贖 覆盆照日 初無倖望 何能生渡此水 自分爲楓林之魂 然一片土上 ?命支存 左婦右孺 ?而忘罪 古人所謂 有生何處不爲生 政爲吾輩今日道也 日?感頌生成之?德 餘不須言 普?飢火 連歲?酷 環顧左右 無非白眼 客計艱楚 彼此一般 而此亦不才倖宦 久??倉 今日所遭 政坐過福 互換之理 只堪一笑 ?霧毒蚊 飽得萬般苦 況衰謝到極 疾病無己時 每?一朝 先朝露 不復與平昔親愛 一握手討阻 ?何?何 令旣北還之後 毋論京鄕 便是?放逸民 時?德音 以替千里顔範 附諸西城本家 可以傳到爾 ?製諷 再三 牙頰便覺凉意 無聊中 忘拙和呈 覽後秘之 勿煩他眼 餘萬不宣 丁丑仲?旣望 累小弟命賢頓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