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전칠기매화문필통

추천0 조회수 10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전칠기매화문필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필통(筆筒)은 붓을 꽂을 수 있도록 만든 통이다. 필세(筆?)나 필가(筆架)와 함께 붓에 딸린 중요한 기물로서 문인사대부의 문방필수품에 속한다. 현재 남아 있는 유물이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의 것이지만‚ 그 필요성을 감안하면 문자와 필기도구의 발명과 더불어 어떤 형식으로든 존재해왔을 것으로 여겨진다. 재질은 나무·대나무·도자·돌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제작방법은 재료에 따라 각기 다르다. 목리(木理)가 좋은 괴목·오동나무 등의 원목은 원심력을 이용한 목물레(旋車)로 깎아내거나‚ 4∼8쪽의 판재를 잇대어 만들며‚ 대나무는 원통을 그대로 이용하여 밑부분만 목재로 막아 쓴다. 도자필통은 원통이나 사각기둥을 기본형으로 하여 백자유약을 바른 것이 가장 많다. 통이 하나인 것도 있지만‚ 키가 다른 서너개의 통을 붙여 다양한 기능과 함께 조형미를 아울러 갖춘 것도 많다. 문양은 문자·사군자·산수·화조·십장생 등이 주조를 이루며‚ 기법도 음양각·투각 등 입체적인 것과‚ 먹이나 청화·진사·철화안료를 쓴 평면문양이 사용계층의 취향을 반영하여 다채롭게 시문되었다. 필통의 제작은 소반·장·농 등 가구를 만들던 소목장(小木匠)이 맡았으며‚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쓴 예도 있다. 두루마리 종이를 꽂아두는 지통(紙筒)은 필통과 형태 및 기능에서 매우 유사하지만‚ 지름이나 높이가 필통에 비하여 크고‚ 재료도 목재를 주로 썼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필통은 나전칠기매화문필통이다. 높이가 약 13.3㎝정도의 아담한 정사면체의 필통으로 표면에는 나전칠기로 장식되어 있다. 나전칠기는 특유의 화려함으로 많은 실용품의 장식용으로 애용되었는데‚ 본 유물에는 기암괴석과 섬세하게 뻗어있는 아름다운 화초문이 나전칠기로 장식되었다. 나전이란 자개를 무늬대로 잘라 목심(木心)이나 칠면(漆面)에 박아넣거나 붙이는 칠공예 기법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전감(族嵌)·함방(陷蚌)·취라(吹螺) 또는 나전(螺塡)이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원래 자개라고 하였다. 나전에 사용하는 조개껍데기는 야광패(?光貝)·전복껍데기가 주로 쓰이며 이 밖에도 담패(?貝)·현패(令貝:가막조개)·멕시코 포패(鮑貝) 등 진줏빛을 내는 조개를 사용하기도 한다. 구부(口部)와 측면에는 나무를 덫붙여 안정감을 주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