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감모여재도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감모여재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민화는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또는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實用畵)를 말한다. 오랜 시간동안 이어져 내려온 민화는 자연히 한 틀을 갖게 되었고 대부분의 그림들은 이 틀 안에서 거의 유사한 내용으로 제작되었다. 조선 후기 지배계급은 물론 서민층에까지 생활미술로 크게 유행하였다. 따라서 민화는 정통회화에 비해 수준과 시대 차이가 심하다. 민화는 장식용도와 장소에 따라 그 종류를 달리하는데 이를 화목(畵目)별로 분류하여 보면‚ 화조영모도(花鳥翎毛圖)‚ 어해도(魚蟹圖)‚ 작호도(鵲虎圖)‚ 십장생도(十長生圖)‚ 산수도(山水圖)‚ 풍속도(風俗圖)‚ 고사도(故事圖)‚ 문자도(文字圖)‚ 책가도(冊架圖)‚ 무속도(巫俗圖) 등이 있다. 이밖에 백자천손(百子千孫)을 기원하는 백자용도(百子龍圖)‚ 호피도(虎皮圖)‚ 문양도(紋樣圖)‚ 괴석도(?石圖)‚ 인두로 그리는 낙화(烙畵) 등도 민화의 범주에 든다. 이 중 <감모여재도>는 <사당도(祠堂圖)>라고도 하며‚ 민화 중에서도 특이한 소재를 다룬 작품이다. 집안에 사당을 가지지 못한 사람들이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속에는 낡은 기와집 사당이 보이고‚ 지붕 위로는 소나무가 드리워져 있다. 사당 안에는 제사상이 차려져 있는데‚ 상위에는 매화나무가 꽂힌 꽃병을 비롯하여‚ 촛대‚ 제기(祭器) 등이 있고‚ 앞쪽에는 참외와 수박 등이 놓여 있다. 아마도 선인들은 이런 그림을 걸어두고 조상에 대한 추모(追慕)의 염을 되새겼을 것이다. 비록 필치나 설채 등 기량이 뛰나지는 못하지만 민화에 투영된 보본관념(報本觀念)이 여실히 드러난 작품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