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황매화시첩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황매화시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황의 매화시첩 서예는 문자(文字)를 소재로 하는 조형예술(造形藝術)으로 점과 선·획(劃)의 태세(?細)·장단(長短)‚ 필압(筆壓)의 강약(强弱)·경중(輕重)‚ 운필의 지속(遲速)과 먹의 농담(濃?)‚ 문자 상호간의 비례 균형이 혼연일체가 되어 미묘한 조형미가 이루어진다. 서예의 특징으로는 글자를 쓰는 것으로써 서예술이 성립된다. 점과 선의 구성과 비례 균형에 따라 공간미(空間美)가 이루어지며 필순(筆順)‚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성된다. 필순에 따른 운필의 강약 등으로 율동미가 전개된다. 먹은 오채(五彩)를 겸하여 검정색이지만 농담(濃?)·윤갈(潤渴)·선염(渲染)·비백(飛白) 등이 운필에 따라 여러 색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영묘(靈?)한 결과를 낳고 있다. 서예는 고대 중국에서 발달하여 문자를 뚜렷하고 아름답게 형성하려는 것으로 비롯되었지만 현대에는 조형성과 예술성도 겸하게 되었다. 특히 동양의 철학은 내면과 외면의 일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아름다운 내면의 정신으로 외면으로 드러난다고 하여 서예의 기교보다는 그사람의 인품을 더 중요시 여겼다. 서첩에는 우리 선현들의 사생활의 실태를 찾아 볼 수 있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이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살아 있는 서예사이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황은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 호는 퇴계(退溪)‚ 시호 문순(文純)이다. 12세 때 숙부 이우(李艇)에게서 학문을 배우다가 1523년(중종18) 성균관(成均館)에 입학‚ 1528년 진사가 되고 1534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부정자(副正子)·박사(博士)·호조좌랑(戶曹佐郞) 등을 거쳐 1539년 수찬(修撰)·정언(正言) 등을 거쳐 형조좌랑으로서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를 겸직하였다. 1542년 검상(檢詳)으로 충청도 암행어사로 나갔다가 사인(舍人)으로 문학(文學)·교감(校勘) 등을 겸직‚ 장령(掌令)을 거쳐 이듬해 대사성(?司成)이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쉔)에 의해 삭직되었다가 이어 사복시정(司僕寺正)이 되고 응교(應敎) 등의 벼슬을 거쳐 1552년 대사성에 재임‚ 1554년 형조·병조의 참의에 이어 1556년 부제학‚ 2년 후 공조참판이 되었다. 1566년 공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예조판서‚ 1568년(선조 1) 우찬성을 거쳐 양관대제학(兩館?提學)을 지내고 이듬해 고향에 은퇴‚ 학문과 교육에 전심하였다. 스스로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창설하여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힘썼고 현실생활과 학문의 세계를 구분하여 끝까지 학자의 태도로 일관했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은 물론 글씨에도 뛰어났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 및 선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