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발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발은 불교 사찰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식기(食器)로 비구(比丘) 6물(物) 또는 18물의 하나로서 발우(鉢盂)라고도 한다. 이는 범어의 음사인 발다라(鉢太羅)의 약칭으로‚ 번역하면 응기(應器) 또는 응량기(應量器)라고도 한다. 즉‚ 부처님과 그 제자가 지니는 식기로서‚ 색과 재질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로 언급되고 있다. <사분율(四分律)>에서는 6종의 발우를 열거하였으나 대체로 철발(鐵鉢)과 이발(泥鉢)로 나누어지고‚ 그 밖에 목발(木鉢)이 우리 나라에서도 한때 크게 유행하였으나 이를 외도(?道)라 하여 금지하기도 하였다. 또한 <십송률(十誦律)> 제56권에서는 금발(金鉢)·은발(銀鉢)·유리발(琉璃鉢)·마니발(摩尼鉢)·동발(銅鉢)·백랍발(白?鉢)·목발(木鉢)·석발(石鉢) 등 8종의 발우를 열거하고 있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동발은 청동제로써‚ 몸통지름이 14.5㎝로 중형의 발이다. 구연(口緣)은 약간 외반되어진 가운데 급격히 몸체가 안으로 꺾여 두툼한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다. 구연부의 끝은 뾰족하지 않게 얇고 둥근 면을 이루고 있다. 동체 일부분이 부식되어 있으며‚ 저부(底部)에는 다소 높은 굽이 돌려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