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칠보문동경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칠보문동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동경은 구리로 만든 거울로 동판(銅板)의 표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을 비추어볼 수 있게 한 것이다. 뒷면에는 아름다운 문양이나 길상어(吉祥語) 등을 새겨 사용하였다. 청동기시대에 이미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정교한 작품이 만들어졌으나 삼국시대 이래 통일신라시대까지는 남아있는 유물이 거의 없다. 거울의 기원은 청동제의 감(鑑)에서 찾고 있는데‚ 안에 물을 담아 얼굴을 비추어보았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그러다가 점차 물이 없 어도 얼굴이 비치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만들어진 것이 동경이다. 거울의 형태는 원형·방형·장방형·오화형(五花形)·육화형·팔화형·사릉형(四稜形)·육릉형·팔릉형 등으로 세분되는데 본 박물관의 유물은 원형이다. 그 밖에도 종형(鐘形)과 자루가 달린 병경(柄鏡)‚ 매달게 되어 있는 현경(懸鏡) 등이 있다. 동경은 중앙의 꼭지‚ 즉 유(瞿)를 중심으로 몇 가지 요소의 무늬로 장식되는데 꼭지는 소원뉴(素圓瞿)·수형뉴(?形瞿)‚ 그리고 특수한 형태의 것으로 분류된다. 동경의 형식은 먼저 꼭지를 둘러싸고 있는 유좌(瞿座)가 있다. 유좌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경우도 있고 방격(方格)·사엽문(四葉文)·화문(花文)·원점문(圓點文)·현문(弦紋) 등이 장식된 경우도 있는데 본 유물에는 아무런 장식도 꾸며져 있지 않다. 유좌를 다시 감싸는 것이 내구(內區)이다. 내구에는 동경의 주류가 되는 무늬가 들어가며 뒷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 내구의 문양에 따라 동경의 특색이 나타나며 그 양식과 형식에 따라 명칭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박물관의 유물역시 명칭과 마찬가지로 칠보문이 새겨져 있는데 칠보란 불교에서 이르는 일곱 가지 보배를 뜻한다. ‘무량수경(無量壽經)’의 금·은·유리·파리(璃)·마노(瑪瑙)·거거·산호와 ‘법화경(法華經)’의 금·은·마노·유리·거거·진주·매괴‚ 전륜성왕(轉輪聖?)이 가지고 있다는‚윤보(輪寶)·상보(象寶)·마보(馬寶)·여의주보(?意?寶)·여보(女寶)·장보(將寶)·주장신보( 主藏臣寶)가 바로 그것이다. 동경의 내구에는 자주 계권(界圈)이라 부르는 구획이 마련된다. 계권은 단권(單圈)·이중권·특수권이 있고‚ 바깥쪽이 한 단 높아지는 단권(段圈)도 있는데 본 유물이 바로 단권이다. 거울의 면은 오목한 것과 볼록한 것이 있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편평하게 만들어 사용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