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붓걸이

추천0 조회수 9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붓걸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붓걸이는 말 그대로 붓을 걸어두기 위한 것이다. 일종의 소형 옷걸이 모양인데‚ 서예붓에 알맞게 붓 꼭지부분에 튀어나온 줄을 걸어 붓을 세로로 축 늘어뜨리는 형식이다. 대체로 붓걸이의 형태는 가는 나무(木)가 `曰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윗면에 줄로 엮에 벽에 걸 수 있도록 되어있다. 고비 ·필통 ·지통(紙筒) 등의 문방가구(文房家具)와 함께 학문과 예술의 온상으로서의 사랑방의 문방생활을 뒷받침하여 주는 문방가구 중의 하나이다. 문방구는 서화를 그리고 책을 읽기 위하여 서재의 책상 위에 비치하는 기물로써‚ 장식도 겸하기 때문에 화려하게 만들어졌다. 낙랑고분(樂?古墳)에서는 도금한 필통이나 벼루를 얹어 두었던 서랍 딸린 주칠(朱漆) 문방대(臺)가 발견되었다. 그 후에도 이러한 벼루류를 넣어두는 문방구 상자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당대(唐代) 이후로는 벼루가 대형화하고‚ 단계석(端溪石) 등의 뛰어난 벼루가 출현하였기 때문에 단독으로 책상 위에 놓이게 되었으며‚ 그 밖의 필통 ·필가(筆架) ·묵대(墨臺) ·연적(硯滴) ·문진(文鎭) ·연병(硯屛) ·도장 ·인합(印盒) 등의 자그마한 공예품도 벼루 주위에 놓이게 되었다. 송대(宋代)부터는 종이 ·붓 ·먹 ·벼루를 문방사우(文房四友) 또는 문방사보(文房四寶)‚ 문방사완(文房四?) 등으로 부르며 사용하였다. 그 밖의 문구류도 도자(陶瓷) ·금동 ·옥 ·미석(美石) ·상아 ·나무 ·대나무 등으로 공예품화했다. 본 박물관의 붓걸이는 목제로 다른 문방구들과는 달리 화려한 모양은 아니며 목제의 질감을 그대로 살린 소박한 작품으로‚ 일반적인 붓걸이의 모양을 하고 있다. 두 개의 기둥 사이에 울거미를 가로지르고‚ 그 아래로 가로대 두단‚ 그 상단에 선쇠목 두 개‚ 하단에 선쇠목 세 개를 얽어맸으며‚ 기둥 하단부분은 마치 버선 코와 같이 뾰족하게 안으로 마주보게 장식되어 있어 바닥에 세울 수는 없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단에 끝을 매어 공중에 걸도록 되어 있다. 올거미와 가로대 위에는 붓을 걸 수 있게 여러 개의 촉을 고정시켰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