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향탁

추천0 조회수 7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향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향탁이란 향로를 올려놓는 탁자를 말하는데 위패와 촛대 등을 올려놓기도 한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부모를 섬기는 세 가지 방법이 있었는데 살아 계신 동안에 봉양하며‚ 돌아가신 뒤에는 상을 치르고‚ 상을 마친 후에는 제사를 모시는 일이었다. 제례는 돌아가신 조상께 제사를 지내는 데 따른 절차와 예를 말하며‚ 같은 유교 문화권인 동양에서도 우리 나라가 조상숭배와 보은의 관념이 더 깊어 조선 오백 년 치국이념으로 형성되고 가신신앙(家神信仰)으로 승화되어 사회‚ 가정‚ 사고 구조에까지 확고하게 뿌리가 박혔던 것이다. 제사의 근원은 먼 옛날에 천재지변‚ 질병‚ 맹수의 공격을 막기 위한 수단에서 비롯되어 유학이 보급된 이후 조상을 섬기는 주요한 방법으로 가정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조상숭배를 중시하고 제례를 엄격하게 시행했던 조선시대 사대부가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귀중하게 보존되고 관리되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당에 보관되었다. 제례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제구(祭具)와 제기(祭器)로 나누어진다. 제구에는 병풍‚ 교의‚ 제상‚ 향안‚ 향탁‚ 주가‚ 소탁‚ 소반‚ 촛대‚ 향로‚ 향합‚ 모사기‚ 축판‚ 지필묵연함 등이 있다. 제기에는 시접‚ 탕기‚ 두‚ 변‚ 병대‚ 조‚ 준항‚ 준작‚ 잔반‚ 반기‚ 갱기‚ 수저‚ 잔 등이 있다. 주로 제상 앞에 향탁을 놓고 백지를 깔고 그 위에 향로(香爐)‚ 향합(香盒)‚ 촛대를 준비하여 향을 피우고 촛불을 밝힌다. 향탁 위에는 동쪽에 향합(香盒: 제사 때에 피우는 향을 담는 합. 놋쇠나 사기 등으로 만듦)을 서쪽에 향로(香爐)를 놓아둔다. 초종중에는 보통 만수향을 쓰고 향탁 앞에는 무늬가 없는 흰 돗자리를 깔아 분향할 자리를 준비한다. 이 방에서 상제들은 향불과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지내며 조상객의 조상을 받아 가며 유해를 모시고 초종을 지낸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향탁은 쌀을 저장하는 궤처럼 생겼는데‚ 가로가 약 32㎝‚ 세로 약 27.3㎝‚ 높이가 약 34.2㎝의 작고 아담한 탁자형이다. 윗면인 천상의 모양이 특이한데‚ 높게 직선으로 외면으로 모양으로 속은 움푹 들어가 있다. 앞면에는 몸통 전체를 차지할 듯이 커다란 서랍이 1개 달려있으며‚ 둥글둥글한 대좌가 독특한 기형으로 몸통을 떠받치고 있다. 서랍에 둥근 손잡이형 고리가 달려있을 뿐‚ 별다른 문양장식과 경첩없이 나무 자체의 결만을 살린 소박한 미감을 보여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