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연당초문매병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연당초문매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는 소량의 제2산화철이 포함된 고령토를 태토(胎土)로 성형한 후‚ 유리질 유약을 씌워 약 1200℃에서 구운 자기를 말한다. 상감기법이란 자기가 마르지 않았을 때 문양을 음각(陰刻)하고‚ 그 부분에 백토니(白土泥)‚ 또는 자토니(裏土泥:붉은 흙)를 메꾸고 예번(豫燔)한 다음 다시 청자유(靑瓷釉)를 바르고 본번(本燔)하는 자기(瓷器) 장식기법이다. 고려청자의 진가를 세계에 알린‚ 다른 나라의 도자기제품에는 유례가 없는 기법으로‚ 의종대(毅宗代:1147∼1170)에 창안되어 고려청자에 응용되었다. 상감청자의 문양으로는 운학(雲鶴)·양류(楊柳)·보상화(寶相華)·국화(菊花)·당초(唐草)·석류(石榴) 등 여러 가지가 쓰였으며‚ 특히 운학무늬와 국화무늬가 가장 많이 쓰였고‚ 국화무늬는 조선시대에도 애용되었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자상감연당초문매병은 짧은 목에 입은 벌어지고 어깨에서 급히 팽창되어 벌어졌다가 S자 곡선을 이루면서 세워진 조선 초기의 매병이다. 문양은 몸체를 3등분하여 세 줄씩 구획선을 돌리고 위에서부터 이중 연판문대(蓮瓣紋帶)와 날렵한 연화와 당초문대(唐草紋帶) 그리고 저부(底部)의 길죽한 연판문대(蓮瓣紋帶)를 흑백 상감(象嵌)으로 나타내었다. 유색은 녹청색으로 시유되었으며 굽은 평저(平底)이다. 구부(口部) 일부가 수리된 이 매병의 주문양인 연당초문의 활달한 모습이 새롭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