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낭(聖囊)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낭(聖囊)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성체포(聖體布)를 넣는 주머니.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성작개(聖爵蓋)와 성체포(聖體布)를 제대로 가져갈 때 사용되었다. 제의와 같은 천과 색으로 만들어 진다. 성체포낭은 『한불자전』에 나오는 말로서 사각으로 된 이 주머니를 프랑스어로는 ornement dEglise 또는 Bourse pour le corporal로 풀이한다. 오늘날도 간혹 사용하고 있는 용어 중의 하나이다. 성체포가 사용되지 않을 때 성체포낭(聖體布囊)에 보관하였으나 지금은 이 성체포낭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 형태‚ 특징> (가로 21.5*세로 24cm) 성체포를 넣는 프랑스 풍의 백색 면직(옥스포드) 주머니이다. 성령을 의미하는 푸른색 비둘기 문양‚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붉은색 문자 `JHS` 와 심장 문양‚ 땅의 소출‚ 최후의 만찬‚ 주님 만찬을 의미하는 황색 밀이삭과 보라색 포도송이 문양을 십자수로 장식하였다. 테두리는 역시 십자수로 녹색 요철선을 장식하였다. 십자수는 부분적으로 색상의 변화를 주어 입체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 뒷판은 홍색‚ 안감은 백색 면직물(광목)이다. <참고> 백색 : 천주께서 친히 묵시록에서 입으신 색으로 영광‚ 결백‚ 기쁨의 상징이며‚ 부활축일‚ 성모축일‚ 천사 및 치명이 아닌 성인 성녀들의 축일에 사용한다. 성체포(聖體囊) : 성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성작이나 성합 밑에 깔아 두는 수건. 이는 가로‚ 세로 50cm 정도의 작은 아마포로 미사를 시작하기 전에 제대 위에 펴 놓는다. 여기에 성체와 성혈(聖血)을 담은 성작(聖爵)과 성반(聖盤)을 놓는데 이는 떨어진 성체의 조각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서이다. 성체포는 성체강복‚ 성체현시‚ 성체거동‚ 성체행렬 등의 모든 전례가 거행될 때 성체 아래에 놓여진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