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어변성용연(魚變成龍硯)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어변성용연(魚變成龍硯)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먹을 갈아 글씨를 쓰기위한 동양의 고유한 필사(筆寫)도구이다. <일반사항 및 특징> 벼루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벼루의 재질에 따른 분류로 와연(瓦硯)‚ 도연(陶硯)‚ 석연(石硯)‚ 옥연(?硯)‚ 목연(木硯)‚ 석말연(石沫硯‚ 돌가루를 구워만듦)‚ 징니연(澄泥硯‚ 펄(泥)을 말리고 쪄서 만듦) 등이 있다. 둘째‚ 원석의 산지에 따른 분류로 단계연‚ 흡주연‚ 남포연(충남 보령)‚ 안동연‚ 해주연‚ 장수연(전북 장수군) ...등 수많은 종류가 있으며 셋째‚ 벼루의 문양에 따른 분류로 용연(龍硯)‚ 구연(龜硯)‚ 봉황연(鳳凰硯)‚ 학연(鶴硯)‚ 매화연(梅花硯)‚ 송연(松硯)‚ 죽연(竹硯)‚ 천도연(?桃硯)‚ 하엽연(荷葉硯)‚ 십장생연(十長生硯)‚ 산수연(山水硯)‚ 심자연(心字硯)...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벼루바닥에는 밝은색 반점이 드러나 있고 물집에는 용의 콧구멍에서 뿜어나오는 기운이 피어 오른듯하다. 위로 올라간 기운이 구름처럼 물집가장자리를 장식하고 물집가운데 기운 아래에는 미쳐 다 변하지 못한 잉어의 몸통이 숨어있다 잉어의 꼬리부분이 용의 얼굴로 변하는 상상력이 놀랍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