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판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보자기‚ 이불보‚ 책표지 등의 무늬를 박아내고 크고 작은 가지가지 목판이 있으며 이러한 목판들을 「능화판」이라고 총칭한다. 13세기초 이후의 사서 유교경전 문집류는 유존된 것이 점차 많아지고 특히 조선조에 들어서면 모든 서적의 책표지를 능화판 문양으로 장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책이란 오래 써서 책장정이 떨어지거나 헐게 되면 전래되어 온 능화판으로 새 표지를 만들어 장정은 다시 고쳐 쓰고 또 새 책을 간행할 때에는 새로운 의장의 능화판을 제작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어떤 능화판은 대개 마멸이 심하고 오랜 세월을 지나오는 도안 부식되어 버린 것이 많다. 판재에 화공들이 종이에 그린 화고(畵稿)를 뒤집어 붙이고 그 다음에 밥풀을 이긴 풀손으로 종이를 얇게 벗겨내어 문양이 잘 비치게 한 다음 刻手(刻匠)들이 偏刀와 刻刀로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한다. 음각할 때에는 판본을 책상 위에 놓고 앉은 자세를 취한다. 판재를 분류할 때 나무를 縱으로 잘랐을 때 판면을 판목목판(板目木板)이라고 하고 橫으로 잘랐을 때 版面은 목구목판(木口木板)이라고 하며‚ 主紋樣의 윤곽선을 남기고 바탕이 희게 남는 것을 양각판이라고 하고 바탕이 되는 부분을 검게 남기는 것을 음각판이라고 한다. 능화판으로 찍기 위하여는 먼저 종이에 괴나무나 황백나무 치자물을 노랗게 물들이거나 또는 남색(藍色‚ 쪽물을 드림)을 (佛經·裝幀에 주로 사용) 들이기로 하고 백지로 그대로 사용하는 예도 있다. 그 다음 능화판에 창칠을 하고 白紙 괴화(槐花) 치자 藍色을 들인 韓紙 56매를 된풀로 붙인 다음 뺀댓돌로 밀어 문양을 올리는 방법과 목판위에 백지를 올려 놓고 그대로 말총으로 만든 털방아이에 밀(密)을 묻혀서 밀어 문양을 올리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 밀을 묻히지 아니하면 깔끄러워서 잘 밀리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박아낸 冊表紙와 冊內紙를 엮어 끈으로 꿰매기 위해 구멍을 뚫는데 옛날부터 우리나라는 다섯구멍으로 꿰매고 중국이나 일본은 네구멍으로 꿰매는 것이 통례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