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자개상

추천0 조회수 7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자개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자개를 무늬대로 잘라 목심(木心)이나 칠면(漆面)에 박아넣거나 붙이는 칠공예 기법. 중국에서는 전감(嵌)·함방(陷蚌)·취라(吹螺) 또는 나전(螺塡)이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원래 자개라고 하였다. 나전에 사용하는 조개껍데기는 야광패(?光貝)·전복껍데기가 주로 쓰이며 이 밖에도 담패(?貝)·현패(貝:가막조개)·멕시코 포패(鮑貝) 등 진줏빛을 내는 조개를 사용한다. 조개껍데기를 숫돌 등에 갈아서 여러 두께로 만들어낸다. 이것을 100장씩 포개 놓은 것이 두께의 단위가 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후패(厚貝)가 4치(12.1cm)‚ 박패(薄貝)가 2푼 5리(7.3mm)짜리를 기준으로 삼고 각종 두께로 만들어진다. <내용> 상판이 자개로 제작된 정사각형의 자개상이다. 상판의 테두리 부분은 붉은 색으로 장식하였고‚ 가운데 원형의 모양으로 화려한 자개 장식이 돋보인다. 문양은 도식화된 꽃 문양이며‚ 빨강‚노랑‚녹색등의 색깔이 들어가서 매우 화려해 보인다. 상판을 지탱하고 있는 상의 다리는 곡선 처리를 통하여 박쥐가 날개를 펴고 나는 형태를 하고 있는데 복이 깃들기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다리가 바닥에 닿는 네 귀퉁이에도 빨강‚ 노랑‚ 녹색의 자개 장식을 하여 통일성과 세련미를 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