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서안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서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및 특징>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가구. 한국에서는 서안(書案)이라 불리었는데‚ 독서나 사서(寫書)를 위해 선비들의 필수품이었다. 서안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의 풍속화에서도 볼 수 있고‚ 특히 정약용(丁若鏞)의 《증보산림경제》에서는 안판(案板)의 크기와 판자의 재료 등에 대해서 서술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당시의 선비들은 서안을 좌전(座前)에 대하며 그 곁에 연상(硯床) 또는 연갑(硯匣)과 문갑 ·필통 ·지통(紙筒) 등을 곁들이는 것을 문방(文房)의 기본치장으로 여겼다. 원래 책상은 나무로 만들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후 사무용 책상으로 철제가 널리 보급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조부분은 강철이고 몸에 닿는 부분은 목재를 사용한 형식도 개발되었다. 종류에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생활습관에 따라 앉아서 책을 보게 된 것(높이는 보통 30 cm 정도)과 의자식의 책상이 있는데‚ 의자식 책상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평책상:갑판과 4다리로 되어 있으며‚ 서랍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② 편수(片袖)책상:좌우 한쪽에 서랍이 있다. ③ 양수(兩袖)책상:좌우에 모두 서랍이 있다. <상세 설명> 서안은 평좌용의 낮은 책상을 말한다. 한자로는 書狀이라고도 표기한다. 장소와 용도에 맞추어 독서용으로는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하고 두루마리에 글을 쓸 때에는 긴 것을 사용한다. 이것은 상판 아래 서랍이 있는 평책상이다. 상판을 지지하고 있는 양 옆면이 다리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아래부분을 뚫어 장식을 하였다. 또한 서랍에는 걸쇠가 부착 되어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