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12각 호족반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12각 호족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상판의 모양에 따라 4각반‚ 6각반‚ 8각반‚ 12각반‚ 원반‚ 연엽반‚ 반월반으로 구분되고‚ 다리모양에 따라 호족반‚ 구족반‚ 마족반‚ 다리가 하나인 일주반(단각반이라고도 함)으로 나눈다. 전체의 모양이 특이한 형태나 구조로 짜여지고 정교한 무늬로 장식된 특별한 용도의 이형반은 별반이라고 한다. 이 소반은 생김새로 보아 12각 호족반이라 칭한다. 호족반은 조선조 소반의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소반하면 누구나 구부러진 동물 발 모양의 네 다리를 연상하게 된다. 이 네 다리가 버티면서 안정감을 주는 것이 소반이다. 상판을 받치고 있는 다리의 어깨가 힘있게 밖으로 불거지면서 흐르는 선이 다시 안으로 구부러져 유연한 S자 형을 이루다가 발끝이 밖으로 살짝 내밀린 형태가 기본형이다. 상판은 12각형이 일반적이고 간혹 원형판도 있다. 대부분 통판이며 운각이 둘러지고 운각에 호랑이 다리가 네 곳을 받쳐 반을 받고 있다. 나주에서는 호족반도 통판이 아니라 아구를 물리는 변죽을 대어 반을 짰다. 다른 지역에서는 통판을 깎아 제물 변죽을 이룬 점이 다를 뿐이다. 제작 방법이 용이해서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탓인지 전라도 남부 지역을 제외한 전역에서 즐겨 사용되므로 굳이 지방별로 구분할 의미가 없다. 대궐의 수라상으로 쓰이던 호족반은 다리의 굴곡이 힘차고 위용이 있으며 높이가 높고 반은 날렵하게 다리보다 밖으로 뻗쳐 있는데‚ 보통 민가의 호족반은 반의 넓이와 다리의 폭이 비슷하며 다리의 굴곡도 완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시대적인 특성이기도 한 듯‚ 후대의 것들은 다리의 굴곡도 약하고 힘이 빠져 빈약하고 가늘다. 이는 문약한 조선 유교 사회의 한 단면으로도 생각된다. 조선 전기에는 상층 계급에서만 사용되던 호족반이 후대에는 모든 계층에 쓰인다. 이는 18‚ 19세기에 신분 사회가 무너지면서 사회적으로 부상한 중인이 사대부의 기물을 많이 썼는데 일반에 널리 쓰인 호족반도 그러한 것의 하나였던 듯하다. 곧 현존하는 호족반이 많은 것은 문방구가 급격히 많아진 것과 같은 사례로 해석해 볼 수도 있다. 용재는 대체로 행자목이 고급품이나 목리가 좋은 괴목을 택하는 기호도 성행하였던지 호족반의 우수품에는 괴목반도 상당수가 있다. 괴목반의 경우 대개는 들기름을 먹여 쓰면서 윤을 내는 소박한 치장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