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치성광 여래도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치성광 여래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칠성을 불교의 호법선신(護法善身)으로 수용하고 이를 의인화하여 묘사한 불화(佛畵)이다. <내용> 불교 탱화의 하나. 사찰에서는 칠성각(七星閣)을 따로 건립하여 이를 봉안하고 있다. 원래 불교에서는 칠성신을 신중의 하나로 보고 신중탱화 속에서만 묘사하였다. 그런 칠성에 대한 신앙적 기능이 조선 초기부터 강화되면서 독립된 신앙형태를 지니게 되었고‚ 그에 따라 신중탱화에서 분화된 별개의 칠성탱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칠성신앙의 대상은 칠여래(七?來)의 화현(化琅)인 북두칠성에 대한 신앙이 아니라‚ 칠여래의 증명을 거친 칠성신이다. 따라서 칠성탱화를 그릴 때에는 칠여래와 함께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칠원성군(七元星君)을 반드시 묘사하게 된다. 칠성탱화가 널리 봉안된 것은 칠성의 주불(主佛)인 치성광여래가 약사여래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여 자식이 없는 부인이나 아들을 낳고 싶어하는 부인‚ 자식의 수명을 비는 신도들에게서 큰 인기를 모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칠성탱화 중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작품은 현재 일본 고베 다몬사에 있는 것과 일본인 개인소장품인 1569년(선조2)작 칠성탱화를 들 수 있다. <화면 설명> 총 9폭이 한세트로‚ 그중 한폭이다. 7폭은 칠성성군을 그린것이고‚ 나머지 한폭은 도교신을 ‚ 그리고 한폭이 이 치성광 여래도 이다. 중앙 본존은 치성광 여래도‚ 두광과 거신광을 지니고 있으며‚ 연화좌위에 앉아있다. 가사는 황색계통으로 ‚청색으로 내부를 표현하고 옷단부분은 흑색을 칠하였다. 신체 부분에는 옅은 주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가사부분에는 옅고 가는 먹선을 그렸다. 여래의 얼굴과 손에는 음영을 비교적 세심하게 표현하고‚ 눈두덩이와 콧등‚ 목선에 백색으로 하이라이트를 주었다. 좌협시 보살은 월광 보살로‚ 손에 일광이 달린 연화가지를 들고 서 있다. 의복은 본존과 같은 황색이며‚ 보발이 어깨까지 늘어져 있으며‚ 초록색의 요포를 입고있다. 우협시의 일광보살은 주황색의 일광이 표현된 연꽃가지를 들고 있으며‚ 배부분에 복대를 하고 있다. 푸른색천의를 걸치고 있다. 두 보살 모두 손에 백색계통의 긴천의를 여러겹으로 걸치고있으며‚ 천의 끝부분이 말리며 흩날리고 있다. 여래의 머리부분에서 세줄기의 섬광이 하들을 향해 뻗치고 있다. 화면은 전체적으로 황색계통이며‚ 푸른색과 녹색이 일부섞여 산뜻한 느낌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