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십이지초(개)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십이지초(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땅을 지키는 열두 신장을 십이신장(十二神將) 또는 십이신왕(十二神?) 이라고도 한다. <약사경 藥師經>을 외우는 불교인을 지키는 신장(神將)이다. 이들은 열두 방위(方位)에 맞추어서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소‚ 원숭이‚ 닭‚ 돼지‚ 개‚ 쥐‚ 양 등의 얼굴 모습을 가지며 몸을 사람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도교(道敎)의 방위신앙에서 강한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십이지신앙은 약사신앙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선덕여왕 대 이미 밀본법사(密本法師)가 <약사경>을 읽어 병을 고쳤다는 기록이 나온다. 김유신(金庾信) 장군도 <약사경>을 호지(護持)하는 이인(異人)과 교분을 나누었다. 이 십이지신앙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전까지는 밀교의 영향으로 호국적 성격을 지녔으나‚ 삼국통일 이후는 단순한 방위신으로서 그 신격이 변모해갔다. 즉 탑을 만들 때 그 기단부에 십이지신상을 조각하였는데‚ 경주 원원사지(遠願寺址)에 있는 삼측석탑은 그 효시가 되고 있다. <화면 설명> 오른손에 칼을 들고 있으며 오른쪽 발을 들고 있는 역동적인 모습이다. 화면 좌측 옷자락에 `천의`라고 씌여있다. 화면 좌측 중간에 `茂時`라고 쓰여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